수목원&정원
DMZ자생식물원의 가을 풍경 스케치
대한민국 어느 곳보다 먼저 찬 기운이 찾아오는 DMZ 지역, 이곳 DMZ자생식물원의 가을 풍경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고층습지원, 자작나무원, War garden의 가을 풍경과 전시원 곳곳에 피어난 국화, 붉게 익은 열매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올해 여름은 유난히 무더웠습니다.
여름 태양이 붉게 내리 쬐어 후덥지근 데워졌었던 땅은 이제 가을비로 촉촉해졌습니다.
뜨거웠던 여름이 지나가고 가을이 오나 싶었지만 이곳 양구에는 벌써 겨울의 기운이 코 끝을 스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어느 곳보다 먼저 찬 기운이 찾아오는 DMZ 지역, 오늘은 찰나에 지나가버리는 이곳 DMZ자생식물원의 가을 옷자락을 붙잡고 그 풍경을 새겨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DMZ자생식물원의 가을은 대암산 자락 전체를 물들이며 요란하게 찾아옵니다.
아마 식물원 반대편 능선에 자리잡은 ‘대한민국 제1호 람사르습지 지정 습지’인 ‘용늪’에도 갈색 가을이 스며들었을 것입니다.
아니나 다를까 얼마 전 용늪을 방문했을 땐 이미 단풍도 떠나간 겨울 풍경이었습니다.
한여름 피어났던 연노랑색의 참닻꽃도 얼굴을 붉게 물들였죠.
그런데 왠일일까요?
봄에 만났었던 노란색의 동의나물 꽃이 계절을 잊고 피어나 있었습니다.
반가운 마음 보단 안타까움이 앞서는 요즘입니다.
갈색으로 물든 대암산 용늪
붉게 단풍이 든 참닻꽃
계절을 잊고 피어난 동의나물
DMZ자생식물원에는 용늪을 본따 조성한 전시원인 고층습지원이 있는데요.
이를 통해 식물원에서도 용늪의 가을 분위기를 어렴풋하게나마 느껴볼 수 있습니다.
갈색으로 물든 산뚝사초와 방울고랭이,
단단하게 열매를 달고 있는 숫잔대 같이 평소 쉽게 볼 수 없는 독특한 가을 풍경을 고층습원전시원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고층습지전시원의 가을전경
숫잔대
가을을 물씬 느낄 수 있는 DMZ자생식물원의 또 다른 공간은 '자작나무'가 무리지어 자라는 곳입니다.
단풍 명소인 인제 자작나무숲을 본따 조성한 이곳에는 노란 가을이 바닥까지 깔려있습니다.
노랗게 물든 자작나무원
가을을 대표하는 식물로 억새를 빼놓을 순 없습니다. 바람에 나부끼며 하늘을 간지럽히는 가을 억새의 물결은 장관을 이루는데요.
DMZ자생식물원 War garden에서도 이러한 억새 군락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War garden은 DMZ의 자연, 역사, 문화요소를 반영, 평화와 통일을 염원하는 상징적 공간으로 통문,
전투진지 등의 소재를 활용하여 한국전쟁의 희생자들과 아픈 상흔들을 기억하고 추모하고자 조성되었습니다.
특히 방문자들이 DMZ를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참호를 본 딴 관람로가 있는데 양 옆이 억새로 둘러쌓여 있어 독특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장소입니다.
War garden 철책을 따라 늘어선 수크령
War garden 참호 길과 평화의 종
또 가을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국화입니다.
DMZ자생식물원에도 다양한 종류의 국화가 전시원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노란 꽃을 피우는 산국과 감국, 보라색의 좀개미취와 단양쑥부쟁이, 흰 꽃을 피우는 포천구절초와 산구절초,
키 작은 눈갯쑥부쟁이 등 다양한 국화 종류들이 전시원 곳곳을 수놓고 있습니다.
감국
산국
눈갯쑥부쟁이
좀개미취
단양쑥부쟁이
포천구절초
가을의 전시원을 거닐다보면 여기저기 새빨갛게 익은 열매들이 눈길을 끕니다.
가을이 되자 언제 그랬냐는 듯 사라져버린 여름의 햇빛들이 어디로 갔나 했더니 붉은 열매 속에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다양한 나무의 열매들이 다채로운 붉은 빛을 띄고 있는 것을 보니 올 한해 식물들도 치열하게 살았구나 싶어 대견하기까지 합니다.
가막살나무
백당나무
마가목
산사나무
섬개야광나무
해당화
점차 추워지는 날씨에 몸이 움츠러들고 있습니다. 그래도 옷을 단단히 껴입고 발걸음을 나서보면 형형색색의 가을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제서야 꽃을 피우는 식물도 있고, 올 한해 열심히 자라나 단단한 열매를 맺은 식물도 있고, 몸을 갈색으로 물들이며 한 해를 마무리하는 식물도 있습니다.
각자의 시간 속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는 식물들은 오늘도 우리에게 들리지 않는 응원을 보내고 있습니다.
오늘은 밖으로 나가 가만히 이들에게 귀를 기울여 보면 어떨까요?
글쓴이
DMZ산림생물자원보전과
석사후연구원 조승주
임업연구사 윤정원
(우)11186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광릉수목원로 509 대표전화 031-540-2000
COPYRIGHT ⓒ 국립수목원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