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가 행복하게 살면
좋겠어요.”
어쩌면 부모의 바람은 이거 하나일지도 모르겠다. 강의와 상담 현장에서 만나는 부모들은 자녀를 사랑해서 많은 것을 주고 싶어 한다. 자녀가 행복하기를 바라는 부모의 마음은 숭고하다. 부모는 자신의 시간과 물질을 자녀를 위해 사용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시간과 돈을 사용하는 곳은 진짜 마음이 있는 곳이다. 다만 그 진심을 쏟아붓는 ‘행복’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알고 가면 좋겠다.
행복은 무엇으로 결정될까?
재력과 높은 학력(좋은 학벌)이면 충분할까?
아름다운 외모와 건강이 있다면 행복할까?
물론 있으면 좋다. 솔직히 돈도, 좋은 학벌도, 그리고 누가 봐도 미소가 지어질 만한 좋은 외모도 있으면 좋다. 굳이 ‘그런 건 안 중요해요.’라고 손을 내저을 이유는 없다. 그러나 어느 정도 인생을 살아보면 남 보기에는 부족함이 없지만 정작 당사자는 행복하지 않은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행복은 자존감, 즉 ‘내가 나를 보는 시선’, ‘자신이 느끼고 생각하는 나’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정신과 의사 이무석, 이인수 부자(父子)는 자존감과 행복을 두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정신의학에서는 자존감을 행복의 핵심 요소로 본다. 자존감이 있어야 어디서든 당당하고 자기가 주인이 된 삶을 산다.”, “자존감은 간단히 말하면, 자신에 대한 자신의 평가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이 ‘자신’의 평가라는 점이다. 아무리 객관적 조건이 훌륭해도 내가 나를 못나게 보면 그대로 나에 대한 최종 평가가 된다.”
(이무석, 이인수 <따뜻한 무의식>, 15p.)
그렇다, 사람은 주변에서 “너는 다 가졌잖아.”, “네가 부러워.” 한다고 행복해지는 존재가 아니다. 우리는 자기 스스로 가치 있고 유능하다고 생각해야 비로소 행복을 느낄 수 있다. 게다가 행복은 실체가 없다. 짧은 순간 누리는 감정일 뿐이다. 일상 중에 만족과 기쁨을 느끼는 순간이 많고, 그 시간을 잘 쌓아가면 행복한 사람으로 사는 것이다. 그렇다면 행복한 사람은 어떻게 살까? 행복한 사람은 생기가 있다. 작은 성공도 기쁘고 소중하게 여긴다. 큰 성공을 경험하면 충분히 누리고 이웃과 그 성과를 나눈다. 내가 괜찮은 존재이기 때문에 내가 하는 일, 내가 만나는 사람, 그리고 내가 누리는 것들이 소중하다. 그래서 하루하루를 귀하게 여기며 자기 인생을 산다. 부모가 자녀에게 바라는 그 모습이다.
그런데 자녀가 자존감 높은 사람으로, 행복하게 살려면 부모가 먼저 행복해야 한다. 그 이유는 다음 질문을 통해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