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정서적 불안, 우울, 산만함, 낮은 집중력, 과잉행동, 충동적 행동에 이르기까지 영유아의 문제행동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자기조절력을 들 수 있습니다.
자기조절력이란 유혹이나 충동으로부터 감정, 사고, 행동을 조절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자기조절력은 타고난 기질 뿐만 아니라 부모의 양육방식에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부모는 아이의 자기조절력을 키워주기 위한 적절한 환경을 조성하고, 그에 적합한 놀이 제공을 통해 자기조절력이 발달될 수 있도록 지원해주어야 합니다.

자기조절력이 키워지는 놀이레시피
·준비물: 없음
➀ 아이와 부모가 함께 <그대로 멈춰라!> 노래를 부르면서 춤을 춥니다.
“즐겁게 춤을 추다가~그대로 멈춰라!”
➁ 멈추는 시간을 짧게, 혹은 길게도 해봅니다.
부모는 아이가 멈추는 동작을 잘 하면 칭찬과 격려를 해줍니다.
➂ 가사를 바꾸어 보며(예: 만세를 하세요, 악수를 하세요, 앉으세요 등) 가사에 맞춰 다양한 동작을 해봅니다.
TIP. 아이들은 신이 나면 멈추지 않고 계속 하려고 하는데 지시에 따라 잠시라도 멈췄다면 바로 칭찬해 주세요. 그래야 앞으로 지시에 대한 순응성이 좋아집니다.
·준비물: 플라스틱 그릇, 구슬 혹은 작은 블록, 욕조
➀ 아이를 먼저 욕조 안에 넣고, 크기가 다양한 플라스틱 그릇을 넣습니다.
➁ 부모가 먼저 그릇에 구슬을 던져 넣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➂ 아이도 구슬을 그릇 안으로 던져보게 합니다.
➃ 아이가 구슬을 잘 던지면 더 작은 그릇에도 구슬을 던져보게 합니다.
➄ 물로 작은 파도를 만들어 그릇이 움직이게 하고, 구슬을 던져 넣어보게 합니다.
- 구슬이 들어가지 않아 속상해하면 바로 “아휴, 골인이 안 되서 속상하겠네”라고 마음을 헤아려 감정조절을 위한 상호작용을 해주세요.
·준비물: 투명 플라스틱 컵 20개, 풍선, 탁구공
➀ 투명 플라스틱 컵 밑 부분을 칼로 잘라 구멍을 냅니다.
➁ 풍선의 머리 부분을 가위로 자릅니다.
➂ 자른 풍선의 머리 부분을 컵에 끼운 다음 테이프로 고정합니다.
➃ 풍선 꼭지는 묶어줍니다.
➄ 투명 플라스틱 컵을 산 모양으로 쌓습니다.
➅ 컵 안에 탁구공을 넣고 풍선 꼭지를 잡아당겨 쌓아놓은 플라스틱 컵을 맞춥니다.
TIP. 아이의 발달 수준 및 성취결과에 따라 부모가 플라스틱 컵 쌓는 것을 도와줄 수 있습니다.
2) 이보연(2020). 0~5세 뇌가 쑥쑥 자라는 놀이 육아. 위즈덤하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