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의 소소한 즐거움을 위하여! 재밌고 깊이 있는 문화 예술 뉴스. 엔드 뷰 ! |
|
|
😍 [엔드뷰 vol.28]
AI시대를 살아가는아날로그형
인간을 위한 안내서 #ChatGPT
# Question : 질문하는 인간, 호모 프롬프투스(Homo Promptus)
2024년, 인공지능의 대중화가 시작되면서 올해의 트렌드로 주목받는 키워드가 있다. AI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요구되는 능력이자, 생성형 AI를 원활하게 활용할 줄 아는 인간을 뜻하는 ‘호모 프롬프투스(Homo Promptus)’이다. 이것은 인간을 의미하는 ‘호모(Homo)’와 인공지능 시스템에 정보를 입력 하고 원하는 답변을 얻기 위해 질문하는 ‘프롬프트(Prompt)’의 합성어로, AI와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기술을 적재적소에 사용할 줄 아는 인간의 능력을 강조하는 신조어를 말한다.
서울대학교 김난도 교수는 <트렌드 코리아 2024>에서 올해의 10대 키워드 중 하나로 ‘호모 프롬프트’를 꼽았으며, AI시대의 인간의 역할과 아날로그적인 ‘휴먼터치’에 대해 언급했다. 현재 기업을 중심으로 AI기술이 빠르게 활용되고는 있지만, 인간만이 가진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보다 다층적인 경험을 만들어 내는 것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것이다.
2022년 11월, ChatGPT 출시 이후, 쏟아진 생성형(Generative) AI는 짧은 시간동안 이전에 없던 커다란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다. 스마트폰으로 들어간 AI덕분에 이제 외국인과 실시간 프리토킹이 가능하고, 코드를 몰라도 음악을 작곡할 수 있으며, 프롬프트 작성만으로 퀄리티 높은 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똑똑한 AI를 조수로 쓰는 개인의 생산성은 앞으로 상상조차 할 수 없는 크기로 발전하여 거대한 격차를 만들게 될 것이다.
필자 역시 AI 시대를 살아가는 아날로그형 인간이자 연구자로서, 앞으로 AI기술에 적응해 가는 과정과 실생활 활용사례를 조금씩 연재할 예정이다. 그에 앞서 이번 글에서는 ChatGPT를 활용한 AI의 기초개념과 업무의 활용사례에 대해서 전하고자 한다.
|
|
|
▶ AI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컴퓨터 및 기계가 사람의 자연지능을 모방하는 기술. 인간의 학습능력, 추론능력, 지각능력을 인공적으로 구현하려는 컴퓨터 과학의 세부분야 중 하나이다. 알파고처럼 특정문제만 해결하 는 AI를 약인공지능(Weak AI)이라고 한다. 강인공지능은 일반 인공지능(AGI: Artificial Gene ral Intelligence)과 인공 슈퍼지능(ASI: Artificial Super Intelligence)으로 구성된다. 인공일 반지능(AGI) 또는 일반 AI는 기계가 인간과 동등한 지능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고 학습하며 미래를 계획할 수 있는 자각 의식을 갖는 이론적 형태의 AI이다. 초지능이라고도 불리는 인공 슈퍼지능(ASI)은 인간 두뇌의 지능과 능력을 능가할 수 있다. 강인공지능은 아직까지 전적으 로 이론에 불과하고 실제 사용 사례는 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AI 연구자들이 이 기술을 개발 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ASI의 가장 좋은 예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 등장하는 초인적 인 불량 컴퓨터 도우미 HAL과 같은 공상 과학 소설에서 찾아볼 수 있다.(IBM)
▶ ChatGPT (Chat + GPT: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OpenAI가 개발한 프로토타입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으로 2022년 11월 공개되었다. ChatGPT는 LLM(Large Language Models: 대형언어모델)의 인간의 자연어 처리 능력을 바탕으로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이 원활해지면서 생성형 AI시대를 열었다. 2023년 6월 기준 전 세계 사용자 수는 약 17억 명에 이른다. 미국에서 약 2.1억명, 전체인구의 63.4%가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시애틀코리안데일리, demandsage) OpenAI가 ChatGPT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공개 한 이후, 항공기 예약이나 음식 주문과 같이 새로운 기능을 연동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플러그인 역할이 가능해졌다. 2023년 3월 4일에 ChatGPT-4 유료버전(월$20)이 출시되었으며, 유료버젼에서는 챗봇창에서 DALL·E를 활용해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2023년 11월에는 유저가 직접 특정 목적에 맞게 ChatGPT를 커스터마이징 하여 챗봇을 만드는 GPTs를 출시하였고, 지난 1월에는 App store와 유사하게 GPTs 제작자들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GPT Store를 오픈하였다. ChatGPT와 유사한 대화형 AI 및 검색엔진으로 Google 바드(Bard), Meta의 라마(LLaMA), Microsoft의 빙(Bing), 뤼튼(wrtn ai)등이 있다.
|
|
|
▶ ChatGPT Prompt (ChatGPT4. 사용)
아래의 내용은 ‘AI기술에 대한 기초 키워드’에 대해 ChatGPT와 함께 나눈 대화를 그대로 옮긴 것이다. 내용을 전혀 수정하지 않아, 오류나 설명의 부족이 있을 수 있다. 이해가 안 되거나 보충설명이 필요한 부분은 직접 ChatGPT를 활용하여 질문을 하면서 관련내용을 찾아보기를 권장한다. (가능하면 구글 검색서비스, 마이크로소프트의 빙챗, 뤼튼과 같이 다양한 AI프로그램을 함께 비교하며 활용해 보기를 추천한다.)
Q.너는 AI연구의 전문가이다. 지금부터 내가 묻는 질문들에 기술적이고 과학적인 학술용어를 바탕으로 설명해 줄 수 있니?
GPT : 물론입니다. AI 연구와 관련된 기술적이고 과학적인 질문에 대해 학술적 용어와 개념 을 사용하여 답변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어떤 질문이든지 주시기 바랍니다.
Q. 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속 AI기술 활용에 대한 내용으로 칼럼을 쓰고 있어. AI 기술에 대한 기초지식으로 알아야할 키워드(ChatGPT, Generative AI, LLM 포함)를 10개 찾 아서 설명해줘. 단어별로 ‘이름(영어표기)’을 먼저 쓰고, 한 문장으로 핵심설명을 하고, 보충설 명을 100자 정도로 써줘. 이때 보충설명은 좀 더 이해하기 쉬운 실제 사례를 포함해서 써줘. 설명 내용의 난이도는 과학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작성해줘.
GPT :
AI (Artificial Intelligence) 컴퓨터가 인간처럼 사고하고 학습하는 기술.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음성 인식 기능이 사용자 의 명령을 이해하고 실행합니다.
ML (Machine Learning) 컴퓨터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고 개선하는 과정. 예를 들어, 넷플릭스가 시청 이력을 분석해 개인 맞춤형 추천을 제공합니다.
DL (Deep Learning) 대량의 데이터에서 복잡한 패턴을 학습하는 기술. 구글 포토가 사진 속 인물, 장소, 물체를 자 동으로 분류하는 데 사용됩니다.
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컴퓨터가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처리하는 기술. 예를 들어, 구글 번역기가 다양한 언어 간 의 문장을 번역합니다.
ChatGPT 대화형 AI 모델로, 자연스러운 대화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고객 지원 챗봇이 실시간으로 질문에 답변하는 데 사용됩니다.
Generative AI 새로운 데이터나 콘텐츠를 생성하는 AI 기술. 예를 들어, DALL-E가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설명에 기반 한 이미지를 만듭니다.
LLM (Large Language Models) 대규모 텍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한 모델로 복잡한 언어 작업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GPT-3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글을 작성하거나 질문에 답변합니다.
Computer Vision 컴퓨터가 이미지와 영상을 인식하고 해석하는 기술. 예를 들어, 스마트 카메라가 얼굴을 인식 하여 보안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Algorithm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명령어나 절차의 집합. 예를 들어, 검색 엔진이 웹 페이지를 분류 하고 순위를 매기는 데 사용됩니다.
Data Mining 큰 데이터 세트에서 유용한 정보를 찾아내는 과정. 마케팅 분야에서 고객 구매 패턴을 분석하 여 타겟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활용됩니다.
Q.'AI기술에 대한 기초지식으로 알아야할 키워드' 내용에 어울리는 칼럼에 들어갈 삽화 이미 지를 그려줘. 16:9, photorealistic style, A guidebook for hitchhikers travelling throug h the The Hitchhiker's Guide to the Galaxy.
GPT : 이 일러스트는 ‘히치하이커의 은하수 안내서’의 모험정신에서 영감을 받아 ‘AI 기술 이 해를 위한 필수 키워드’라는 주제에 맞게 제작됐습니다. 별이 가득한 은하수를 배경으로 AI 기술 안에서 여정과 발견을 전하는 요소들이 특징입니다.
|
|
|
# GPT Builder로 직접 만드는 개인화된 AI : GPTs & GPT Store
ChatGPT가 제공하는 GPT Builder를 통해서 맞춤형 GPTs를 만들 수 있다. 만들고자 하는 GPTs가 학습해야 하는 데이터를 pdf 파일로 업로드하고, 프롬프트에 명령어만 입력하면 새로운 GPTs가 완성된다. 이렇게 커스터마이징 된 GPTs는 링크를 통해서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다. 올해부터는 일부국가에서는 GPT Store로 수익 창출도 할 수도 있다고 한다. 이미지 생성형 AI인 DALL·E를 활용하여 원하는 로고를 생성하고, 취준생을 위한 자소서와 학술연구 보고서를 작성하는 맞춤형 GPTs들이 출시되어 있다.
|
|
|
필자는 두 가지 관련분야의 GPTs를 만들어 보았다. 학술연구를 돕는 VR연구 전문가와 글 쓰 는 것을 돕는 보조 작가 GPTs로, ‘VR Immersive Theater Research Expert’에는 VR이머 시브 시어터 관련 논문들을 넣었고, ‘Script Helper’라는 이름의 GPTs에게는 드라마 작법, 시 나리오의 구조 등의 글쓰기 기술이 담긴 pdf자료를 넣어 학습시켰다. 이 중에서 Script Helper로 시나리오의 장면구성을 위한 상황설정을 작성하는 글쓰기 테스트를 해보았다.
▶ 나만의 GPTs, ‘Script Helper’Prompt 테스트 (ChatGPT 4)
아래의 내용은 ‘Script Helper’와 함께 나눈 대화를 수정 없이 그대로 옮긴 것이다.
Q.너는 시나리오 작가야. 미대 회화과를 다니는 캠퍼스커플의 사랑과 성장을 담은 멜로영화를 쓰는 중이야. 초반 설정에서 두 젊은 남녀 주인공이 우연히 편의점에서 만나 호감이 생기기 시작하는 장면을 쓰려고 해. 편의점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이 두 사람이 서로의 매력에 빠질 수 있는 5가지 다른 설정을 만들어줘. 남자는 소심하고 조심성이 많은 성격에 외소한 체격으 로 짜장 라면을 좋아해. 여자는 활발하고 외향적인 성격으로 치즈 케익을 좋아해.
GPT :
– 짜장라면과 치즈케익 남자 주인공이 편의점에서 짜장 라면을 고르는 동안, 여자 주인공이 치즈 케익을 고르려고 한 다. 두 제품이 같은 선반에 있어 서로 손이 닿을 뻔 하고, 이 순간 두 사람의 눈이 마주친다. 여자 주인공이 활발하게 첫 인사를 건네며, 두 사람 사이에 자연스러운 대화가 시작된다.
– 최애 간식 공유하기 여자 주인공이 마지막 남은 치즈 케익을 집어 들려는 순간, 남자 주인공이 그것을 보고는 그 녀에게 양보한다. 여자 주인공은 이 친절한 행동에 감동받아 남자 주인공에게 자신의 치즈 케 익 조각을 나눠주며 감사의 의미로 짜장 라면을 같이 먹자고 제안한다.
– 미술용품의 우연한 발견 여자 주인공이 편의점에서 미술용품을 찾다가 우연히 남자 주인공이 그림을 그리고 있는 모습 을 본다. 그녀는 그의 작품에 관심을 보이며 대화를 시작하고, 두 사람은 서로의 예술에 대한 열정을 공유하며 가까워진다.
– 우산 나눠 쓰기 편의점을 나설 때 갑자기 비가 내리기 시작하고, 남자 주인공이 우산을 꺼내 든다. 여자 주인 공이 우산을 준비하지 못한 것을 본 남자 주인공은 소심하게 그녀와 우산을 같이 쓰자고 제안 한다. 이 공유된 순간이 두 사람 사이의 친밀감을 증진시킨다.
– 편의점 알바생의 도움 남자 주인공이 편의점에서 알바를 하고 있을 때, 여자 주인공이 편의점에 들어온다. 그녀가 찾는 특정 제품을 찾지 못해 당황하는 것을 본 남자 주인공이 도와주며, 그 과정에서 자연스 러운 대화가 시작된다. 여자 주인공은 남자 주인공의 친절함과 조심스러운 성격에 호감을 느 낀다.
▶ 동일한 내용으로 일반 ChatGPT Prompt 테스트 (ChatGPT 4)
Script Helper GPTs가 잘 구동이 되고 있는 지 궁금해서 동일한 프롬프트로 일반 ChatGPT Prompt에 넣어 답변을 확인해 보았다. 그런데 설정이 비슷하게 겹치는 내용이 있었고, 작성 형식도 비슷했다. GPTs를 빌드하는 과정이 제대로 되었는지, 그 과정에서 넣은 글쓰기 관련 데이터가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잘 구분하기 어려울 만큼 비슷하고 평이한 내용들이었다. 이 부분은 앞으로 좀 더 심도 있는 테스트가 필요해 보였다. 참고로 비교를 위해 일반 ChatGPT 와 나눈 대화 내용은 아래에 이미지로 첨부한다
|
|
|
N잡러의 성공 노하우,
시간관리의 신이 되다.
나는 2013년부터 직장 생활을 했다. 그 와중에 극단을 만들어 정기적으로 연극 공연도 올렸다. 이렇게 직장 생활과 극단 생활을 병행하니 자연스럽게 시간관리가 중요해졌다. 그때부터 시간을 잘 관리하는 법을 터득해나갔다. 나의 시간관리 노하우는 직장 생활, 극단 생황에 이어 유튜버 생활까지 함께 병행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고, 직장 생활을 그만두고 프리랜서가 된 지금도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
|
|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XR)은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AR(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 MR(Mixed Reality: 혼합현실)을 포함한 몰입형 기술을 총칭하는 용어로, 현실의 감각을 확장하는 시도이자 메타버스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기술이다. 이 글에서는 우리의 생활 속에 스며든 확장현실(XR) 기술 사례를 바탕으로 일상을 특별하게 만드는 새로운 경험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기술트렌드 #XR #확장현실 |
|
|
오늘의 뉴스레터는 어땠나요? 좋았어요! 🤗ㅣ 음, 잘 모르겠어요 🥺 |
|
|
나랑 & 엔드뷰 | 504-22-47950 | 김준식 서울 금천구 벚꽃로 278, 607 Tel : 1544-7959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