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WB 기술과 응용 분야
●
●
●
임종태 || 한밭대학교 교수
* 본 내용은 김현욱 Tech. Specialist(hw.kim@sk.com)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UWB는 용어가 의미하듯이 광대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미국 통신규제기관인 FCC(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는 광대역을 500MHz 이상의 주파수 폭으로 정의했다.
또한, UWB 장치가 송출하는 전파세기는 잡음레벨보다 낮게 전송되기 때문에 다른 무선통신에 미치는 전파간섭은 적다. 반면, 블루투스나 Wi-Fi는 UWB 대비 좁은 주파수 폭을 사용하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출력의 전파를 사용한다.
통신채널 용량을 결정하는 샤논 법칙(Shannon Theory)에 따라 UWB는 낮은 출력의 전파를 사용해도 넓은 주파수 폭을 사용하기 때문에 고속통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낮은 전파세기도 다른 무선통신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각 국가는 UWB를 위한 별도의 주파수 대역을 지정하고 있다.

<자료> SK Planet 자체 작성
[그림 1] 무선통신 기술 종류
각 영역별 대표적인 무선통신 기술을 보면, WPAN에는 블루투스(BLE 포함)와 UWB, WLAN에는 Wi-Fi, WWAN에는 5G 이동통신이 있다. 데이터 송수신 속도가 빠르고, 통신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기술이 복잡해지고, 통신망 투자비가 증가된다.
미국은 1970년대부터 UWB를 군사목적으로 개발했으며, 이후 군사보안을 해제함으로써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와 ECMA(European Computer Manufacturers Association)에서 UWB 기술표준을 정의하기 시작했다. 기술 표준화는 [그림 2]와 같이 유럽 주도의 ECMA보다는 미국 주도의 IEEE 위주로 진행되고 있는데, IEEE는 UWB 명칭을 IEEE 802.15.4a로 정의하였으며(2007년), 보안과 측위기능이 강화된 IEEE 802.15.4z를 추가로 정의했다(2020년)[1],[2].

<자료> Rohde & Schwarz
[그림 2] UWB 기술 역사
2010년 이전에 UWB 칩을 만드는 회사는 Alereon, Staccato Communications 등 작은 규모의 스타트업 위주로 약 5개사, Wi-Fi 칩을 만드는 회사는 30개 이상이어서 UWB Eco System이 Wi-Fi 대비 절대적으로 부족했다. 이런 이유로 Wi-Fi는 휴대폰에 필수적으로 사용되었고, UWB 칩은 사용되지 않았다. 하지만, 2019년에 애플이 iPhone 11에 UWB 칩을 탑재하여 정밀측위를 활용한 서비스, 근거리 고속통신에 사용하면서 UWB가 다시 관심을 받게 되었고, 이후 다수의 휴대폰 제조사가 UWB를 적용하여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삼성, Qorvo, NXP, Qualcomm, STMicroelectronics 등은 이러한 애플의 전략에 대응하기 위해 UWB 기반 서비스 기술규격, 서비스 시나리오 등을 정의하기 위해 UWB 협의체인 “FiRa(Fine Ranging) Consortium”을 구성했다. FiRa Consortium은 IEEE 802.15.4z 기술을 활용하여 Use Cases 개발, 상호 호환성 검증, Eco System 확대 등을 추구하고 있다. FiRa Consortium은 [그림 3]과 같이 UWB 정밀측위(수 cm 이하)를 활용한 서비스 구현에 중점을 두고 있다[3]. IEEE 802.11 기반의 Promotion 단체인 Wi-Fi Alliance와 유사하게 FiRa Consortium은 IEEE 802.15.4z 기술을 Promotion하는 단체이다[3].

<자료> Fira Consortium, “Fine Ranging“
[그림 3] UWB 특징
애플은 자체 UWB 칩을 개발하고 있으며, 초기에는 Qorvo가 인수한 Decawave 칩을 기반으로 U1 칩을 개발했다. Apple U1 칩은 대부분 Decawave 기술을 사용하고 있으나 Decawave 칩 대비 크기가 작고, 전력소모가 적다[4]. 현재, Qorvo, NXP, Qualcomm, STMicroelectronics 등이 UWB 칩을 판매하거나 개발 중에 있고,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UWB 칩을 개발하는 회사가 많아지고 있다.
2025년 기준으로 한 UWB 칩 시장의 예측 자료에 의하면 UWB 칩은 스마트폰에 절대적으로 많이 적용하고, 그 다음은 Automotive Access로 대부분 자동차 Digital Key에 적용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스마트폰과 차량 이외에도 시장은 작지만 Consumer Tag와 Consumer Wearable에도 적용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II. UWB 기술

<자료>Fira Consortium, “Fine Ranging“
[그림 4] UWB 신호 특징

<자료>Fira Consortium, “Fine Ranging“
[그림 5] UWB Protocol Stack과 관련 단체
일반적인 신호처리로 광대역을 구현하는 방법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나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이 있다. 이것은 원래 신호에 고속의 확산 코드나 Sub Carrier로 광대역을 생성시킨다. OFDMA를 활용하는 5G 이동통신은 10MHz에서 100MHz 주파수 폭을 사용하지만, UWB는 500MHz 이상의 넓은 주파수 폭을 사용한다. UWB는 시간축에서 Impulse를 활용하기 때문에 UWB를 IR(Impulse Radio)-UWB라고도 한다. 이렇게 UWB는 확산신호(Spreading Signal)를 사용하지 않고, 짧은 시간에 스를 송출하여 광대역 주파수를 생성한다. 이것은 퓨리에 이론(Fourier Theory)에 의한 것으로 이 이론은 짧은 시간의 펄스는 넓은 주파수 폭을 형성하는 원리이다.

<자료>Rohde & Schwarz, “UWB"
[그림 6] Bluetooth와 UWB 신호 비교
정부는 UWB 주파수를 3.1~4.8GHz(Low Band)와 7.2~10.2GHz(High Band)를 할당했고, 이후 6.0~7.2GHz 대역을 추가했다. 이것은 FiRa Consortium이 UWB 주파수를 6.5~9GHz 대역을 권고했기 때문이다. 6GHz 대역은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밴드인 2.4GHz 대역과 멀리 떨어져 있어서 전파 간섭을 덜 받는다. 5GHz 대역과 6GHz 대역을 사용하는 Wi-Fi(특히, Wi-Fi 6E)는 UWB 안테나를 공유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UWB는 WPAN 기술의 하나로서, 기본적인 Network Topology는 ‘Pointto-Point’로 2개 디바이스 간 통신이다. 반면, Wi-Fi는 하나의 AP(Access Point)를 중심으로 다수의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Star’ 구조이다.

<자료>3db-access, “HRP, LRP
[그림 7] HRP, LRP 비교
III. UWB 측위
1. TWR
이러한 방식에서 UWB 측위는 TWR과 TDOA가 많이 사용된다. TWR은 UWB 장치 간 양방향으로 시간 정보를 활용하고, TDOA는 측위대상 UWB 장치(Tag)가 신호를 단방향으로 다른 UWB 장치(Anchor)로 전송해서 측위가 이루어진다. 또한, TWR은 송수신 양단 간 시간적인 동기를 사용하지 않지만, TDOA 방식은 송수신 양단간 시간적인 동기가 필요하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기술에서 ‘Anchor’는 특정 지점에 고정된 장치이고, ‘Tag’는 이동하는 장치이다.

<자료>SK Planet
[그림 8] 주요 UWB 측위 기술
TWR은 [그림 9]와 같이 Tag에서 T0 시점에 Anchor 쪽으로 신호를 보내고, Anchor가 신호를 받은 시점을 T1이라고 하면, 이의 응답으로 T2 시점에 다시 Tag쪽으로 신호를 보낸다. 이후, Tag는 T3 시점에 신호를 받았다고 가정하면, Tag가 처음 신호를 보낸 T0에서 T3까지가 RTT(Round Trip Time)이다.

<자료>Litepoint, “UWB TWR”
[그림 9] TWR 방식 측위
2. TDOA

<자료>NXP, “Digital Key”
[그림 10] TDOA 원리
IV. UWB 응용 분야

<자료>Fira Consortium
[그림 11] UWB 응용 분야

<자료>Fira Consortium
[그림 12] UWB 주요 3가지 기능
이러한 응용 분야를 기반으로 FiRa Consortium은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주요 3가지 기능을 [그림 12]와 같이 언급했는데, 여기에는 ① Hands Free Access Control, ② Location Based Services, ③ Device to Device Services가 있다.
Hands Free Access Control은 손을 사용하지 않고, 주머니에 있는 휴대폰의 UWB가 자동으로 현관문 자물쇠와 통신하여 사용자가 접근했을 때, 문이 열리는 응용이다.
Hands Free Access Control에서 Hands Free는 손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의미이고, Access는 현관문을 통과하거나 어디에 접근한다는 의미이다. Location Based Services는 UWB 실시간 정밀 측위 기능을 활용하여 주로 실내에서 측위를 활용하는 서비스이며, Device to Device Services는 디바이스 상호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이다.

<자료>Fira Consortium
[그림 13] UWB Door Unlock 시나리오
UWB 통신은 양단 간 동기가 설정된 다음, UWB와 스마트 도어락 간 근접거리가 되었다는 것을 인식한 후, 보안기능이 처리되고 문이 열린다.
또한, UWB 칩 회사인 NXP는 UWB 주요 응용 분야를 IoT, Mobile, Automotive와 같이 3가지로 분류하기도 했다. IoT는 주로 정밀측위를 활용한 응용이고, 모바일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상호 간 데이터 송수신이나 스마트 도어락을 제어하는 기능이며, Automotive는 차량문을 자동으로 열거나 닫는 기능이다.
Digital Car Key 관련, 주로 휴대폰과 차량 간 연동기술을 정의하는 단체인 CCC(Car Connectivity Consortium)는 휴대폰을 자동차 키로 활용하는 “Digital Key” 기술과 Use Cases를 정의하고 있다. 기존에 CCC는 Digital Key로 휴대폰과 차량 간 통신을 NFC (Near Field Communication)로 정의했는데, UWB가 휴대폰에 탑재되면서 UWB를 주된 통신방식으로 정의했다. CCC가 정의하는 Digital Key는 휴대폰과 차량에 저장되는 Key 관리, 사용자 인증, 자동차 문 열기와 닫기, 차량 시동걸기, Digital Key 공유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Digital Key는 강한 보안기능이 필요하기 때문에 SE와 TSM (Trusted Service Manager) 서버가 활용된다. NFC는 근접거리 무선통신 기술이고, SE는 스마트 카드나 microSD 등으로 구현되는 H/W 기반의 보안장치로서 암호 알고리즘, Key 저장, 인증이나 암호화와 같은 보안 기능 처리 등을 담당한다. 그리고 TSM 서버는 주로 SE와 보안채널을 설정하여 SE에 관련된 파라메터를 설정하는 Provisioning 역할을 한다.

<자료>NXP, “Digital Key"
[그림 14] UWB 기반 Digital Key 시스템 구성도

<자료>Apple, “UWB"
[그림 15] UWB 측위를 활용한 Apple iPhone 기능
삼성도 근접거리에서 데이터를 공유하는 “Nearby Share”, 기존 BLE 기반의 Smart Tag에 UWB가 적용된 ‘SmartTag+’를 출시했다. 또한 삼성은 NXP의 UWB 칩을 기반으로 자동차용 Digital Key에 중점을 두고 있다. 삼성은 NXP사 기술로 Digital Key를 개발하고 있는데, NXP사는 UWB 칩뿐만 아니라 NFC, SE 등의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어서 쉽게 Digital Key로 확장할 수 있다[9].
V. 결론
Fira Consortium은 UWB 확대를 위해 주요 응용 분야로 측위를 활용하는 Hands Free Access Control와 Location Based Services, 고속 데이터 통신을 활용하는 Device to Device Services를 정의했다.
다수의 시장조사 회사는 UWB 칩이 연간 20% 수준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UWB 칩, 응용기능 개발 등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이다.
[1] Rohde & Schwarz, “UWB”, https://www.rohde-schwarz.com/kr/home_48230.html
[2] IEEE, “IEEE 802.15.4z”, https://standards.ieee.org/standard/802_15_4z-2020.html
[3] Fira Consortium, “Fine Ranging”, https://www.firaconsortium.org/about
[4] Decawave, “UWB”, https://www.decawave.com/
[5] NXP, “Digital Key”, https://www.nxp.com/
[6] 3db-access, “HRP, LRP”, https://www.3db-access.com/
[7] Litepoint, “UWB TWR”, https://www.litepoint.com/uwb/
[8] Apple, “UWB”, https://support.apple.com/ko-kr/guide/iphone/iph771fd0aad/ios
[9] Samsung, “UWB”, https://news.sams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