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 웹사이트 리뉴얼
지난 10월 1일, 재단은 새롭게 리뉴얼 한 웹사이트를 오픈하였다.

웹사이트 바로 가기 : https://www.kfas.or.kr
재단 가족 분들과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STAY CONNECTED” 페이지를 개설하였고, 재단 가족과 함께 스토리를 만들어가고자 한다.
최신 뉴스 페이지에서 재단의 소식을 확인하고, 재단 가족들과 공유하고자 하는 여러분의 최근 근황과 소식을 재단 대표 이메일 (kfas@kfas.or.kr)로 보내주면 재단 가족들이 함께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번 홈페이지 개편에서는 장학생(및 alumni) 전용 페이지를 개발하였다.
https://sch.kfas.or.kr 에 접속하면 장학생 전용 알림마당, 동문 자유게시판 및 개인 이력을 추가할 수 있는 메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아이디가 없거나 장학생(및 alumni)로 접속이 되지 않는 재단 가족들은 kfas@kfas.or.kr 로 연락을 주면 해결이 가능하다.

kfas@kfas.or.kr 로 연락하면, 재단의 프로그램이나 기타 안내들을 항상 받을 수 있다.
온라인 홈커밍데이 개최

온라인 홈커밍데이 건배 제의

온라인 홈커밍데이 복면장기왕

온라인 홈커밍데이 줌 실시간 퀴즈 참여 장면
재단은 2021년 10월 3일 온라인 홈커밍데이 행사를 진행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하여 작년에 이어 금년에도 부득이 온라인으로 행사가 개최되었다. 작년과 다른 점이 있다면, 금년은 유튜브(Youtube) 스트리밍 외에 줌(Zoom) 솔루션을 추가하여 참가자들이 단순히 생방송되는 프로그램을 시청할 뿐만 아니라 줌을 통하여 진행되는 퀴즈에 실시간으로 참가하여 퀴즈 왕이 선발되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참여형 온라인 행사였다는 점이다. 약 250여 명의 재단 가족이 참여했다.
아울러, 참여의 멋과 맛을 더하기 위하여 재단에서는 사전에 각종 응원도구, OX퀴즈판, 플라스틱 음료수 잔, 기념품 등을 제작하고 실시간 퀴즈 참여자들의 주소를 취합하여 국내 및 국외의 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재단 가족분들에게 일명 “줌 패키지”를 우편으로 발송하여 행사 수 일 전에 모두 수취하도록 하였다. 행사 당일에 소품들을 이용하여 행사에 참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재단 소속감 및 일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복면장기왕” 대회를 개최하여 줌을 통해 우승자를 가리는 투표를 진행하였다. 많은 참여자들이 사전에 장기자랑 동영상을 재단 측에 보내주었고 재단의 전문가들이 5인을 선발하여 행사 당일 방송 현장으로 초청함으로써 5인의 실시간 장기 경연이 이루어 질 수 있었다.
이날 최태원 이사장, 최병일 사무총장의 축사가 영상을 통해 전세계 재단 가족들에게 전달되었고 많은 장학생들과 학자 가족들이 영상을 통해 모두 힘을 합해 팬데믹을 극복하자는 메시지를 공유하는 시간이 되었으며 내년에는 대면으로 행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자는 희망과 의지를 서로 공유하는 시간도 되었다.
KFAS Fall 2021

KFAS Fall 2021
재단의 여러 세대가 참여하는 학술·교류 프로그램 KFAS(Knowledge Festival All Seasons)의 올해 마지막 프로그램인 KFAS Fall 2021이 11월 4~6일 개최되었다. KFAS Fall 2021은 "사회과학, 사회적 가치와 함께"를 주제로, 사회과학 분야의 학자 및 장학생과 함께 강릉 라카이 샌드파인/스카이베이 경포에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은 총 4개의 패널로 구성되었는데, 패널마다 장학생이 지정토론자로 참여하여 주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다. 패널 1-1 “빅데이터의 사회과학”에서는 김현석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와 양현주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가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해 발표했다. 이은주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해외유학 18기)가 사회자로서 토론을 이끌었으며 배원우, 이규헌, 박정훈, 신승우, 정지환 장학생이 지정토론자로 참여했다. 패널 1-2 “사회과학으로 세상읽기”에서는 홍미화 국민대 정치외교학과 교수(해외유학 30기)와 박지환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해외유학 27기)가 본인의 연구 분야에 대해 발표했다. 이후 이근욱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해외유학 19기)의 진행 하에 토론이 진행되었고, 임진형, 이민지, 박성현 장학생이 지정토론자로서 의견을 나누었다. 유일하게 대담 형식으로 진행된 패널 2-1 “사회과학과 사회적 가치”에는 염재호 고려대 행정학과 명예교수(해외유학 4기), 박정수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해외유학 14기), 송지연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해외유학 24기)가 대담 패널로 참여하여 사회과학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논의했으며, 최병일 재단 사무총장이 사회를 맡았다. 패널 3-1 “사회과학이 전망하는 한국의 현재와 미래”에서는 황선재 충남대 사회학과 교수(해외유학 27기)와 하정화 사회복지학과 교수(해외유학 19기)가 한국사회의 전망에 대한 연구 내용을 공유했으며, 한준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해외유학 15기)의 사회 아래 이서경, 김가영, 윤선혜, 옥윤우 장학생의 지정토론과 전체 토론이 진행되었다. 모든 패널이 종료된 후, 오죽헌을 답사하며 학자와 장학생이 자유롭게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다. 프로그램 참여자는 재단 학자와 장학생이 장시간 함께 어울려 진지한 논의와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어 좋았으며, 앞으로 꾸준히 지속하길 바란다는 소감을 남겼다.

단체사진

오죽헌 답사

패널

패널
KFAS Fall 2021 스케치 영상 보러가기 : https://youtu.be/job62loPftg
미국 동부 및 서부 장학생 면담

2021년 미국 동부 장학생 면담

2021년 미국 서부 장학생 면담
2021년 9월과 11월, 최병일 사무총장과 장학학술팀은 미국의 동부와 서부에서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장학생들을 격려하고 재미 박사학위자와의 만남을 위해 미국을 방문하였다.
9월에는 Boston과 New Haven에서 Harvard와 MIT, Yale에 재학 중인 해외유학장학생들을, 11월에는 San Francisco 인근에서 UC-Berkeley, Cal-Tech, Stanford, UCLA, USC에 재학 중인 해외유학장학생들과 만남을 가졌다. 재단이 새롭게 개편하고 있는 여러 프로그램에 대해 알리고,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학업 중인 장학생들의 근황을 나누었다.
재단에서는 2021년 9월과 11월 미국 동, 서부의 장학생 면담을 시작으로 미국 내에서의 재단 프로그램을 더욱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2022년 2월에는 “KFAS(Knowledge Festival All Seasons) in America”로 미 서부에서 2박 3일간의 재단 네트워크 행사를 준비 중에 있다.
장학생 연수 프로그램 Unpacking America 1강 개최

Unpacking America 1강 강연 현장

강연 이후 진행된 사인회
미국에 대한 이해 및 미·중관계에 대한 균형적인 시각 확보를 위해 기획된 장학생 연수 프로그램 Unpacking America 1강이 11월 11일 한국고등교육재단 컨퍼런스홀에서 진행되었다. 30여명의 유학후보장학생과 한학연수장학생이 참석한 본 강연은 정재호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의 신간 <생존의 기로: 21세기 미·중관계와 한국> 북콘서트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재단 최병일 사무총장의 인사 말씀 후 이어진 약 45분간의 강연에서 정재호 교수는 현재의 미·중관계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정치, 외교적 맥락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러한 국제적 정세 속에서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이후 진행된 대담 및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장학생들은 전문가 그리고 미래 사회의 리더로서 필요한 미·중관계에 대한 균형적인 시각을 확보하는 기회를 가졌다.
강연에 참여한 장학생들은 “책이 말하고자 하는 핵심 내용을 짧은 시간내에 잘 요약해주신 것 같고, 앞으로 우리나라가 처할 중요한 문제를 짚어주신 것 같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평소에 관심이 없었던 분야였으나 이번 기회에 미·중, 그리고 한국의 관계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볼 수 있었고, 정말 우리의 생존의 기로를 모색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강연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대담을 통해 학계의 시각과 실제 정치외교 현장 사이의 차이에 대해 조금 더 확장된 사고를 할 수 있었다”는 등의 반응을 보이며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Unpacking America 강연 시리즈는 2022년 상반기에 재개되며 미국의 사법시스템, 의회제도와 같이 미국에 대한 이해를 증대 시킬 수 있는 주제들을 다룰 예정이다. 11월 11일에 진행된 강연의 영상은 재단 유튜브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강연 영상 보러가기 : https://youtu.be/JSaiAhWR7VM
The Way To Stockholm 영상 제작

2021 노벨 화학상
이동환 서울대 화학부 교수 & 최민규 해외유학후보장학생 47기(서울대 화학부)

2021 노벨 평화상
김환영 중앙일보 글로벌머니 칼럼니스트 & 이수진 대학특별장학생 42기(고려대 정치외교학과)

2021 노벨 경제학상
김대일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박정훈 대학특별장학생 39기(서울대 경제학부)
이번 달 6일, 학생들의 학업 동기를 고취시키고 노벨상에 대한 꿈을 심어주는 프로그램인 “The Way To Stockholm”의 인터뷰 영상이 공개되었다. 재단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재단 석학과 장학생의 대담을 통해 노벨상 수상자들의 업적을 조망하고 수상에 얽힌 뒷이야기를 듣는 인터뷰 영상을 제작하였다. 올해는 이동환 서울대 교수(해외유학 19기), 김환영 중앙일보 글로벌머니 칼럼니스트(해외유학 9기), 김대일 서울대 교수(해외유학 7기)가 각각 노벨 화학상, 노벨 평화상, 노벨 경제학상을 주제로 장학생과 이야기를 나눴다. 총 6편 제작된 이번 인터뷰 영상은 노벨상에 대한 이야기뿐만 아니라 각 분야에 대한 통찰을 제시하는 이야기도 들을 수 있어 유익하다는 세간의 평을 받고 있다. 재단은 매년 노벨상 수상자 발표 시기에 맞추어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예정이며 장학생들과 함께 노벨상 수상자 강연이 진행되는 스톡홀름에 방문할 계획이다.
The Way To Stockholm 영상 보러가기 :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AGkQTD3IBkkCRKIo5PuCtWYQGe4sFrDP
제1회 E-STREAM Express

신창환 교수 공학 특강

안선화 정크아티스트 창작 활동

염재호 명예교수 미래인재 투어&강연
재단은 지난 10월 20일~21일 양일간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 프로그램인 제1회 E-STREAM Express를 개최하였다.
E-STREAM Express는 “지식의 열차(Express)”를 타고 “학문∙지식의 줄기(Stream)”를 따라 함께 “extreme”한 여행을 떠나는 청소년 프로그램으로, ‘Stream’은 명사로 ‘줄기/흐름’이라는 뜻 외의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Mathematics)’ 교육에 ‘R(Reading)’을 추가한 것의 약자이기도 하다. 프로그램 대상은 자퇴, 제적, 유예 등의 이유로 학교 재학 중이 아닌 ‘학교 밖 청소년’으로, 본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들이 다양한 분야를 경험하여 꿈과 관심사를 찾아나서는 발판을 마련하고자 했다.
제1회 E-STREAM Express는 서울, 경기 지역에서 선발된 만 17~20세 학교 밖 청소년 4인과 함께 한국고등교육재단 인재림타워 및 고려대학교에서 개최되었으며 멘토링, 고려대 미래인재 투어 및 강연, 공학 특강, IT 특강, 창작 워크숍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연사로는 김성국 연세대 글로벌융합공학부 교수(해외유학 21기), 염재호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명예교수(해외유학 4기), 신창환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해외유학 29기), 박해우 Google 엔지니어(대학원정보통신 15기), 안선화 정크아티스트가 함께했다.
참여 청소년들은 “본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얻은 것들을 삶의 밑거름으로 녹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달하지 않고 상호 소통으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이라 더 적극적으로 임할 수 있었다”는 소감을 남겼다. 2022년에도 더 많은 학교 밖 청소년들의 꿈을 찾아나서는 여정을 지원할 예정이다.
제1회 E-STREAM Express 스케치 영상 보러 가기 : https://youtu.be/82svvNF__E0
제3회 Lecture TOWARD

제3회 Lecture TOWARD 강연 사회자와 연사

제3회 Lecture TOWARD 강연 청중
세대 간 소통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청중의 자리에 머물렀던 청년들이 무대에 올라 그들의 생각을 표현하고 객석으로 돌아온 기성 세대와 소통하는 Lecture TOWARD 세대 소통 프로그램 3회 강연이 11월 30일 한국고등교육재단 컨퍼런스홀에서 개최되었다. 염재호 고려대 명예교수(해외유학 4기)와 3명의 청년연사들이 참여하여 4차 산업 혁명 그리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며 청중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김미현 연세대 심리학과 재학생은 소수자 포용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대학교육이 인공지능이 말할 수 없는 가치를 사유하는 사회 구성원을 육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발표했다. 박교림 서울교대 국어교육과 재학생은 더 넓은 세상을 보고 경험하는 창구로서의 대학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수업과 다양한 기회들을 통해 학생들이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관점을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육이 발전해야한다 주장했다.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사업실 실장(해외유학후보 31기)은 사회가 급변할수록 청년들에게 필요한 역량은 기본기이기 때문에 대학교육은 기본 소양, 삶을 즐길 수 있는 사색 재료, 그리고 사회구성원으로서 공존하고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게 도와야한다 설명했다. 이후 진행된 청중과의 대화 시간을 통해 발표 내용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청중들은 “대학교육을 직접 받고 있는 연사들의 생각과 의견을 공유 할 수 있었던 점”, “들을 수 없었던 다양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는 점” 그리고 “전문가의 일방적 강연이 아니었던 점”등을 본 강연의 인상적인 부분으로 꼽으며 세대 소통의 대한 높은 수요를 보였다. 3회 강연 영상은 12월 중으로 재단 유튜브 계정에 게재될 예정이다.
강연 영상 보러가기 :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AGkQTD3IBkn38ROnBiFh_xELga7D0nrA
Dream Lecture 2021
-
1) 드림렉쳐 방문특강
팬데믹 상황에도 전국 중·고등학교의 뜨거운 관심과 재단 학자들의 열정으로 2021년 방문특강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 총 57명의 재단 학자들이 전국 130개 학교의 학생들을 찾아 강연을 진행하였다. 2021년부터 비대면(Zoom) 방문특강도 진행되어 외국에 거주 중인 학자도 연사로 참여할 수 있게 되어, 형석고 등 18개 학교의 학생들을 온라인으로 만났다. 2021년 방문특강은 이번 달 23일 하윤경 홍익대 기초과학과 교수(해외유학 10기)의 용강중학교 방문을 끝으로 마무리될 예정이다.
경기 일동고 최종학 서울대 교수 강연
서울 진명여고 권영준 연세대 교수 강연
-
2) 드림렉쳐 초청특강
제55회 드림렉쳐 초청특강 “함께 만들어가는 미래, 커뮤니티”가 9월 11일 개최되었다. 박한선 신경인류학자, 송의영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해외유학 8기), 강윤희 서울대 인류학과 교수(해외유학 18기), 김승주 고려대 사이버국방학과 교수가 연사로 참여하여, 청소년들이 자신이 속한 커뮤니티의 다양한 모습을 이해하고 여러 학문의 세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이끌었다. 지난 초청특강과 마찬가지로 강연은 유튜브 라이브로 송출되었으며, 9개 중·고등학교 168명의 학생이 온라인(Zoom) 참여단으로 강연에 참여했다.
10월 23일 진행된 제56회 드림렉쳐 초청특강은 “미래공간: 상상이 현실로”를 주제로 개최되었다. 강예린 서울대 건축학과 교수, 이경수 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 임동근 한국교원대 연구원, 하정화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해외유학 19기)가 강연하였으며, 7개 고등학교 144명의 온라인 참여단 학생들과 유튜브 라이브 시청자들이 강연을 시청하며 미래 공간을 상상하는 시간을 가졌다.
11월 13일 진행된 제57회 드림렉쳐 초청특강 “난제와 딜레마”를 마지막으로 2021 하반기 드림렉쳐 초청특강이 마무리되었다. 최병일 재단 사무총장, 김상현 고등과학원 수학부 교수(해외유학 20기), 은유 작가, 김현섭 서울대 철학과 교수(해외유학 29기)의 강연이 진행되었으며, 강연에 참여한 청소년들은 다양한 분야의 난제와 딜레마를 접하고 이에 도전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할지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제57회 드림렉쳐 초청특강에는 6개 고등학교 149명의 학생이 온라인 참여단으로 함께 했다.제55회 드림렉쳐 초청특강
강윤희 서울대 교수 강연제56회 드림렉쳐 초청특강
하정화 서울대 교수 강연제57회 드림렉쳐 초청특강
김상현 고등과학원 교수 강연제55회 드림렉쳐 초청특강 영상 보러 가기 : https://youtu.be/EFODbxD05Es
제56회 드림렉쳐 초청특강 영상 보러 가기 : https://youtu.be/TirlSaQYFj8
제57회 드림렉쳐 초청특강 영상 보러 가기 : https://youtu.be/6fOghze0PsA
리뷰의 발견 팟캐스트 시즌 3
리뷰의 발견 로고
박훈 서울대 교수 녹음 현장(ep.4)
재단이 후원하는 전문 서평지 『서울리뷰오브북스』 가을호가 지난 9월 “모든 여행은 세 번 떠난다”라는 특집 주제로 출간됐다. 『서울리뷰오브북스』 가을호에 실린 서평을 다룬 ‘리뷰의 발견 시즌3’에는 조문영 연세대 교수를 시작으로 심채경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 윤비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단장, 박훈 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 강예린 서울대 건축학과 교수,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해외유학 17기)가 차례로 출연했다.
‘리뷰의 발견 시즌 3’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더욱 특별해진 여행의 의미를 되짚어보았다. 이번 ‘리뷰의 발견’은 다양화된 게스트를 비롯, 18세기 여행과 우주 여행 등 다채롭고 흥미로운 주제로 한층 더 풍성한 이야기를 담아냈다.
지난 3월 시작한 서평 전문 팟캐스트 ‘리뷰의 발견’은 내년에도 계속해서 서평 그 너머의 이야기를 청취자에게 들려줄 예정이다.
- 리뷰의 발견 바로가기
- 팟빵 : http://www.podbbang.com/ch/1779839
- iTunes : https://podcasts.apple.com/kr/podcast/id1558014199
- 네이버 오디오클립 :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7188
재단 국제교류사업 외연 확장 Part 1: 스웨덴
Nobel Foundation 미팅
지난 10월 24~30일, 최병일 사무총장과 이준호 서울대 자연과학대 학장/생명과학부 교수(해외유학 12기)는 재단 사업부 직원과 함께 재단 국제협력사업 외연 확장을 위해 스웨덴 스톡홀름으로 출장을 다녀왔다. 재단 외연 확장으로 다양한 글로벌 교류프로그램을 추진하기 위해 Nobel Foundation을 비롯해 스웨덴 유수 대학기관(Stockholm University, Karolinska Institute, KTH, Uppsala University 등)과 연구기관(SIPRI, STINT, KNTEC 등)과 미팅을 진행했다.
특히 Nobel Foundation에서는 노벨주간 학생들이 스웨덴을 방문해 직접 현장을 경험하면서 꿈을 키울 수 있도록 계획중인 프로그램 The Way To Stockholm(TWTS)을 소개하고 미래 세대 양성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재단은 스웨덴을 포함한 노르딕 국가 및 글로벌 교육기관과 협력하여 미래세대가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를 다양한 관점에서 재조명하여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 만들기에 공헌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또한 기획 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