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엔젤투자동향

엔젤투자 가입자 현황


2011년 11월 엔젤투자지원센터 개소 이후 2018년 5월 31일 현재까지 총 16,107명이 가입했다.



< 엔젤투자 등록현황 >

(단위: 명)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합계
1분기 4월 5월
가입자수 369 2,241 2,258 2,192 2,408 3,068 2,291 810 208 262 16,107

※ 전문엔젤투자자 : 117명


지역별 가입자는 서울 7,246명(45.0%), 경기 3,741명(23.2%), 인천 568명(3.5%)으로 수도권이 높은 비중(71.7%)을 차지하고 있으며 지방은 부산 688명(4.3%), 대구 619명(3.8%), 대전 520명(3.2%), 광주 503명(3.1%) 순으로 나타났다.



< 지역별 엔젤투자 등록 현황 >

(단위:명,%)

구분 서울 인천 경기 부산 울산 경남 광주 전남 제주 대구
회원수 7,246 568 3,741 688 200 440 503 221 104 619
구성비 45.0 3.5 23.2 4.3 1.2 2.7 3.1 1.4 0.6 3.8
구분 경북 대전 충남 강원 전북 충북 세종 해외 기타 합계
회원수 250 520 277 184 297 158 56 27 8 16,107
구성비 1.6 3.2 1.7 1.1 1.8 1.1 0.4 0.2 0.1 100.0

2011년 11월 엔젤투자지원센터 개소 이후 2018년 5월 31일 현재까지 유효한 엔젤클럽은 202개 클럽이다.



< 지역별 엔젤클럽 등록 현황 >

(단위:명,%)

서울 경기 인천 부산 대전 충북 충남 광주 대구 강원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울산 제주 합계
121 16 2 12 5 1 3 8 8 3 6 1 2 8 4 2 202

전문엔젤투자자 현황


2014년 7월부터 전문엔젤투자자 등록이 시행된 이후, 올해 5월 말 기준 총 117인의 전문엔젤투자자가 등록되었다. 그 중 6명의 신규(연장) 전문엔젤투자자가 2018년 2분기에 추가 승인되었다.


전문엔젤투자자 중 69.1%가 교육이수를 통한 경력인정을 받았고, 박사(9.4%), 투자심사(7.7%)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엔젤투자자 현황 및 교육과정은 엔젤투자지원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 경력유형별 전문엔젤투자자 등록현황 >

(단위: 명, %)

구분 상장법인창업자 상장법인이사 벤처기업창업자 투자심사 기술사 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변리사 지도사 감정평가사 박사 교육 합계
전문엔젤 5 6 - 9 - - 1 - 2 1 1 11 81 117
비율 4.3 5.1 - 7.7 - - 0.9 - 1.7 0.9 0.9 9.4 69.1 100.0

국내 엔젤투자 규모

엔젤투자는 벤처캐피탈과 달리 개인 투자실적에 대한 신고 및 보고의 의무가 없다. 따라서 국내 엔젤투자 공식통계는 소득공제* 신청자 기준으로 엔젤투자 규모를 산정한다.

* 소득공제 :
벤처기업에 지분투자 또는 관련펀드에 출자하는 경우 종합소득금액의 일정금액 한도로 투자금액의 일정비율을 소득공제하는 제도
* 소득공제비율 추이 :
10%(07.1) → 20%(11.12) → 30%(13.1) → 5천만원이하 50%, 초과 30%(14.1) → 1.5천만원이하 100%, 1.5~5천만원 50%, 초과 30% → 3천만원 이하 100%, 3~5천만원 70%(18.1), 초과 30%


< 개인투자 소득공제실적(5월말 기준) >

(단위: 백만원, 명, 개사)

구분 ’12년 ’13년 ’14년 ’15년 ’16년(‘19.6까지 집계)
투자액 55,964 57,462 90,514 184,072 208,249
투자자 549 889 1,146 2,631 4,355
투자건 1,115 977 1,254 2,868 5,052
기업수 93 172 231 410 412

개인투자조합


개인투자조합이란, 개인투자자들이 공동으로 출자하여 우수 중소벤처기업에 투자 할 목적으로 결성한 펀드, 일정요건*을 갖춘 후 중소벤처기업부에 등록

일정요건 :

① 출자총액 1억 원 이상
② 출자 1좌의 금액 100만원 이상
③ 조합원수 49명 이하
④ 업무집행조합원의 출자지분 5% 이상
⑤ 존속기간 5년 이상


< 개인투자조합 결성 및 투자실적 >

(단위 : 개, 백만원)

구분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5 합계
신규조합
(상반기)
-
-
1
-
1
-
-
-
11
(5)
19
(10)
28
(9)
43
(16)
130
(55)
174
(63)
105
(105)
512
(263)
신규조합
결성금액
약정 - 230 700 - 3,628 29,109 9,113 26,508 72,509 90,699 55,877 288,373
납입 - 230 700 - 3,628 29,109 9,113 26,508 57,849 77,519 50,257 254,913
해산조합 - - - - - 3 2 4 8 6 5 33
해산조합
결성금액
- - - - - 1,615 609 22,419 3,959 3,205 2,175 33,982
조합수
(누계)
- 1 2 2 13 29 55 89 211 379 479 -
결성액
(누계)
약정 - 230 930 930 4,558 32,052 40,556 44,645 113,195 200,689 254,391 -
납입 - 230 930 930 4,558 32,052 40,556 44,645 98,535 172,849 220,931 -

주1) 2016년 모태펀드 출자 개인투자조합은 Capital Call 방식으로 10%만 납부
주2) ‘( )’는 상반기 수치임

신규 엔젤클럽 소개

클럽명 트리니티 엔젤클럽
가입승인일 2018.04.09
임   원 궁한경 회장, 김형두 총무
관심분야 4차 산업 혁명 관련 분야

클럽명 아이포스 엔젤클럽
가입승인일 2018.04.23
임   원 유승민 회장, 박재걸 총무
결성목적 Bio, IoT, 블록체인, 3D 프린팅, 반도체, 친환경, 문화컨텐츠 등

클럽명 다가치 엔젤클럽
가입승인일 2018.04.30
임   원 고재훈 회장, 주도현 총무
결성목적 IT, 바이오, 콘텐츠 등

클럽명 이레 엔젤클럽
가입승인일 2018.05.23
임   원 박주현 회장, 이명수 총무
관심분야 IT, Bio, 문화콘텐츠, 게임, 4차 산업 등

클럽명 야베스 엔젤클럽
가입승인일 2018.06.18
임   원 전재홍 회장, 유승우 총무
관심분야 IT, 바이오/헬스케어, 친환경/에너지, 콘텐츠/미디어, O2O/유통

해외 엔젤투자동향

□ 미국

엔젤투자규모


2017년 총 투자액은 약 239억달러(약 25조원)로 전년도 대비 약 12.6%의 증가를 보였다.

엔젤투자를 받은 기업은 2016년보다 4.4% 감소한 61,560개사이며, 엔젤투자자는 전년대비 3.2% 감소한 288,380명으로 집계되었다.

2017년 총 투자액(약 239억달러)과 거래량(61,560개사)을 통해 한 건당 약 388,239달러(약 4억2천만원)의 투자가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2016년 기준 약 330,848달러(약 3억8천만원)로 약 57,391달러(약 6,140만원) 증가한 수치다.



< 엔젤투자추이 >

(단위: 10억달러(좌), 개사(우))

자료: Center for Venture Research

업종별 엔젤투자 비중


소프트웨어의 경우 30%로 2017년 총 엔젤투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의료 분야가 19%로 두 번째로 높은 투자비율을 보인다.



< 2017년 업종별 엔젤투자 비중 >

(단위 : %)

구분 소프트웨어 의료 산업/에너지 바이오 도소매 서비스
투자비중 30.0 19.0 7.0 10.0 10.0 5.0

자료: Center for Ven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