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엔젤투자동향
엔젤투자 가입자 현황
2011년 11월 엔젤투자지원센터 개소 이후 2018년 2월 28일 현재까지 총 15,388명이 가입했다.
< 엔젤투자 등록현황 >
(단위: 명)
구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합계 | |
---|---|---|---|---|---|---|---|---|---|---|
1월 | 2월 | |||||||||
가입자수 | 369 | 2,241 | 2,258 | 2,192 | 2,408 | 3,068 | 2,291 | 350 | 211 | 15,388 |
※ 전문엔젤투자자 : 120명
지역별 가입자는 서울 6,997명(45.6%), 경기 3,603명(23.5%), 인천 545명(3.5%)으로 수도권이 높은 비중(72.6%)을 차지하고 있으며 지방은 부산 637명(4.1%), 대구 544명(3.5%), 대전 501명(3.3%), 광주 463명(3.0%) 순으로 나타났다.
< 지역별 엔젤투자 등록 현황 >
(단위:명,%)
구분 | 서울 | 인천 | 경기 | 부산 | 울산 | 경남 | 광주 | 전남 | 제주 | 대구 |
---|---|---|---|---|---|---|---|---|---|---|
회원수 | 6,997 | 545 | 3,603 | 637 | 194 | 420 | 463 | 192 | 103 | 544 |
구성비 | 45.6 | 3.5 | 23.5 | 4.1 | 1.3 | 2.7 | 3.0 | 1.2 | 0.7 | 3.5 |
구분 | 경북 | 대전 | 충남 | 강원 | 전북 | 충북 | 세종 | 해외 | 기타 | 합계 |
---|---|---|---|---|---|---|---|---|---|---|
회원수 | 243 | 501 | 265 | 157 | 284 | 146 | 53 | 27 | 14 | 15,388 |
구성비 | 1.6 | 3.3 | 1.7 | 1.0 | 1.8 | 0.9 | 0.3 | 0.2 | 0.1 | 100.0 |
2011년 11월 엔젤투자지원센터 개소 이후 2018년 2월 28일 현재까지 유효한 엔젤클럽은 196개 클럽이다.
< 지역별 엔젤클럽 등록 현황 >
(단위:명,%)
서울 | 경기 | 인천 | 부산 | 대전 | 충남 | 광주 | 대구 | 강원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울산 | 제주 | 합계 |
---|---|---|---|---|---|---|---|---|---|---|---|---|---|---|---|
118 | 14 | 2 | 12 | 5 | 3 | 8 | 8 | 3 | 6 | 1 | 2 | 8 | 4 | 2 | 196 |
전문엔젤투자자 현황
전문엔젤투자자 중 70%가 교육이수를 통한 경력인정을 받았고, 박사(9.1%), 투자심사(7.5%)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엔젤투자자 현황 및 교육과정은 엔젤투자지원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 경력유형별 전문엔젤투자자 등록현황 >
(단위: 명, %)
구분 | 상장법인창업자 | 상장법인이사 | 벤처기업창업자 | 투자심사 | 기술사 | 변호사 | 회계사 | 세무사 | 변리사 | 지도사 | 감정평가사 | 박사 | 교육 | 합계 |
---|---|---|---|---|---|---|---|---|---|---|---|---|---|---|
전문엔젤 | 5 | 5 | - | 9 | - | - | 1 | - | 2 | 2 | 1 | 11 | 84 | 120 |
비율 | 4.2 | 4.2 | - | 7.5 | - | - | 0.8 | - | 1.7 | 1.7 | 0.8 | 9.1 | 70.0 | 100.0 |
국내 엔젤투자 규모
엔젤투자는 벤처캐피탈과 달리 개인 투자실적에 대한 신고 및 보고의 의무가 없다. 따라서 국내 엔젤투자 공식통계는 소득공제* 신청자 기준으로 엔젤투자 규모를 산정한다.
< 개인투자 소득공제실적 >
(단위: 백만원, 명, 개사)
구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16년(‘19.6까지 집계) |
---|---|---|---|---|---|---|
투자액 | 45,012 | 55,713 | 57,365 | 87,561 | 162,820 | 174,677 |
투자자 | 677 | 570 | 905 | 1,162 | 2,581 | 4,227 |
투자건 | 868 | 1,105 | 963 | 1,237 | 2,718 | 4,637 |
기업수 | 68 | 91 | 171 | 226 | 375 | 370 |
개인투자조합
개인투자조합이란, 개인투자자들이 공동으로 출자하여 우수 중소벤처기업에 투자 할 목적으로 결성한 펀드, 일정요건*을 갖춘 후 중소벤처기업부에 등록
② 출자 1좌의 금액 100만원 이상
③ 조합원수 49명 이하
④ 업무집행조합원의 출자지분 5% 이상
⑤ 존속기간 5년 이상
< 개인투자조합 결성 및 투자실적 >
(단위 : 개, 백만원)
구분 | ’0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2 | 합계 | |
---|---|---|---|---|---|---|---|---|---|---|---|---|
신규조합 (상반기) |
1 - |
1 - |
- - |
11 (5) |
19 (10) |
28 (9) |
43 (16) |
130 (55) |
174 (63) |
25 (25) |
432 (183) |
|
신규조합 결성금액 |
약정 | 230 | 700 | - | 3,628 | 29,109 | 9,113 | 26,508 | 72,509 | 90,139 | 12,037 | 243,973 |
납입 | 230 | 700 | - | 3,628 | 29,109 | 9,113 | 26,508 | 52,229 | 75,459 | 9,617 | 206,593 | |
해산조합 | - | - | - | - | 3 | 2 | 9 | 8 | 3 | 0 | 25 | |
해산조합 결성금액 |
- | - | - | - | 1,615 | 609 | 22,419 | 3,959 | 1,144 | 0 | 29,746 | |
조합수 (누계) |
1 | 2 | 2 | 13 | 29 | 55 | 89 | 211 | 382 | 407 | ||
결성액 (누계) |
약정 | 230 | 930 | 930 | 4,558 | 32,052 | 40,556 | 44,645 | 113,195 | 202,190 | 214,227 | |
납입 | 230 | 930 | 930 | 4,558 | 32,052 | 40,556 | 44,645 | 92,915 | 167,230 | 176,847 |
주1) 2016년 모태펀드 출자 개인투자조합은 Capital Call 방식으로 10%만 납부
주2) ‘( )’는 상반기 수치임
신규 엔젤클럽 소개
클럽명 | 트리비움 엔젤클럽 |
---|---|
가입승인일 | 2018.01.09 |
임 원 | 이광직 회장, 이윤미 총무 |
결성목적 | 서울 역삼동에 소재한 트리비움 엔젤클럽 |
클럽명 | 투엑스 엔젤클럽 |
---|---|
가입승인일 | 2018.01.19 |
임 원 | 한지성 회장, 송진석 총무 |
결성목적 | 스타트업 및 벤처기업을 발굴 및 투자 (관심분야: 바이오, IT, 사물인터넷) |
클럽명 | 라온하제 엔젤클럽 |
---|---|
가입승인일 | 2018.01.22 |
임 원 | 김보상 회장, 오승엽 총무 |
결성목적 | 유망 벤처기업을 발굴하고 투자하기 위해 투자정보교류, 투자협력, 친목도모 등을 통하여 회원의 투자성과와 벤처기업육성 및 발전을 도모 (관심분야: IoT, O2O, Bio&Healthcare, 신재생에너지, 문화 컨텐츠 등) |
클럽명 | 도담 엔젤클럽 |
---|---|
가입승인일 | 2018.01.25 |
임 원 | 한창민 회장, 장은설 총무 |
결성목적 | 초창기 아이디어 단계의 기업 그리고 중소/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투자활성화에 기여하고 투자자들의 자본수익실현을 위한 정보공유의 장으로 성장 (관심분야: 산업전분야, IT, IoT, 바이오, 유통, 금융, 센서, 환경사업, 문화콘텐츠) |
클럽명 | 복사골 엔젤클럽 |
---|---|
가입승인일 | 2018.02.07 |
임 원 | 구자형 회장, 박종록 총무 |
결성목적 | 부천 지역에 사무소를 두고 아이디어와 기술력은 있으나 자금이 부족한 예비창업자, 창업초기단계 기업에 투자하고 경영 자문도 하면서 성공적으로 기업을 성장시키기 위한 클럽 |
클럽명 | 카네기 엔젤클럽 |
---|---|
가입승인일 | 2018.02.07 |
임 원 | 이창은 회장, 이지은 총무 |
결성목적 | 카네기경영연구원(주)에서 결성한 엔젤클럽 |
클럽명 | 대붕 엔젤클럽 |
---|---|
가입승인일 | 2018.02.27 |
임 원 | 황보욱 회장, 정인경 총무 |
결성목적 | 뜻이 있는 기업인에게 함께 손을 내밀며, 어려움을 함께 헤쳐 나가기 위해 결성한 클럽 (관심분야: 드라마, 영화, IP기업, 4차 산업, 바이오 등) |
클럽명 | 비즈풀 엔젤클럽 |
---|---|
가입승인일 | 2018.03.06 |
임 원 | 변영욱 회장, 이종훈 총무 |
결성목적 | 엑셀러레이터 기업과 연계하여 유망한 초기 스타트업을 발굴, 육성. 개인투자조합 및 벤처캐피탈 등을 통한 리스크 헷지로 개인투자자들을 보호하여 투자를 활성화 (관심분야: Bio, 블록체인, IT, ICT, VR 등) |
클럽명 | 이피에스 엔젤클럽 |
---|---|
가입승인일 | 2018.03.14 |
임 원 | 김영재 회장, 이상미 총무 |
결성목적 | 투자클럽을 결성하여 우수하고 유망한 스타트업 기업을 발굴할 계획 신선한 아이디어와 기술이 있지만 자금 문제로 어려움이 있으신 스타트업 벤처기업이나 중소기업에게 오픈 (관심분야: IT, 바이오, 4차 산업 전반, 신기술/신소재) |
해외 엔젤투자동향
□ 유럽
EU 국가별 엔젤투자규모
2016년 EU 국가 중 영국이 98 백만유로로 엔젤투자액이 가장 높았고 스페인(66 백만유로), 핀란드(53 백만유로), 독일(51 백만유로), 터키(47 백만유로), 프랑스(42.7 백만유로) 순으로 나타난다.
< 2016년 EU국가별 엔젤투자추이 >
(단위: 명, 건, 백만유로)
국가 | 영국 | 스페인 | 핀란드 | 독일 | 터키 | 프랑스 | 러시아 | 덴마크 | 스웨덴 |
---|---|---|---|---|---|---|---|---|---|
엔젤투자자 | 8,000 | 2,800 | 566 | 2,020 | 1,400 | 4,500 | 170 | 225 | 813 |
투자수 | 800 | 488 | 400 | 206 | 314 | 415 | 148 | 250 | 97 |
2016년투자액 | 98 | 66 | 53 | 51 | 47 | 42.7 | 34.2 | 22.8 | 22.4 |
2015년투자액 | 96 | 55 | 36.5 | 44 | 31 | 42 | 29.2 | 23 | 21.8 |
EU 업종별 엔젤투자비중
2016년 업종별 엔젤투자 비중은 Tech(39.0%)가 가장 높은 비율로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ICT(36.0%), 구분없음(26.0%) 순으로 나타난다.
엔젤투자 주식 보유기간은 10년 이상이 약 38.0%, 5년-10년 사이는 약 31.0%, 3년-5년은 약 20.0%의 비중으로 나타난다.
< 2016년 EU 업종별 엔젤투자 비중 >
(단위: %)
< 2016년 엔젤투자 주식 보유기간 >
(단위: %)
▣ 통계자료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