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엔젤투자동향

엔젤투자 가입자 현황


2011년 11월 엔젤투자지원센터 개소 이후 2019년 9월 30일 현재까지 총 20,251명이 가입했다.



< 엔젤투자 등록현황 >

(단위: 명)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합계
1분기 2분기 7월 8월 9월
가입자수 369 2,241 2,258 2,192 2,408 3,068 2,291 3,030 786 767 295 231 315 20,251

※ 전문엔젤투자자 : 144명


지역별 가입자는 서울 8,699명(43.0%), 경기 4,657명(23.0%), 인천 689명(3.4%)으로 수도권이 높은 비중(69.4%)을 차지하고 있으며 지방은 부산 920명(4.5%), 대구 822명(4.1%), 대전 730명(3.6%), 광주 618명(3.1%) 순으로 나타났다.



< 지역별 엔젤투자 등록 현황 >

(단위:명,%)

구분 서울 인천 경기 부산 울산 경남 광주 전남 제주 대구
회원수 8,699 689 4,657 920 301 558 618 269 167 822
구성비 43.0 3.4 23.0 4.5 1.5 2.8 3.1 1.3 0.8 4.1
구분 경북 대전 충남 강원 전북 충북 세종 해외 기타 합계
회원수 371 730 369 279 434 221 99 27 21 20,251
구성비 1.8 3.6 1.8 1.4 2.1 1.1 0.5 0.1 0.1 100.0

2011년 11월 엔젤투자지원센터 개소 이후 2019년 9월 30일 현재까지 유효한 엔젤클럽은 229개 클럽이다.



< 지역별 엔젤클럽 등록 현황 >

(단위:명,%)

서울 경기 인천 부산 대전 충북 충남 광주 대구 강원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울산 제주 합계
136 19 2 13 7 1 3 9 12 3 6 1 2 9 4 2 229

전문엔젤투자자 현황


2014년 7월부터 전문엔젤투자자 등록이 시행된 이후, 2019년 8월 말 기준 총 144인이 전문엔젤투자자로 승인되었다.


전문엔젤투자자 중 68.0%가 교육이수를 통한 경력인정을 받았고, 박사(9.0%), 투자심사(5.6%), 상장법인이사(4.9%)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엔젤투자자 현황 및 교육과정은 엔젤투자지원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 경력유형별 전문엔젤투자자 등록현황 >

(단위: 명, %)

구분 상장법인창업자 상장법인이사 벤처기업창업자 투자심사 기술사 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변리사 지도사 감정평가사 박사 교육 합계
전문엔젤 5 7 1 8 - - 6 - 3 2 1 13 98 144
비율 3.5 4.9 0.7 5.6 - - 4.2 - 2.0 1.4 0.7 9.0 68.0 100.0

국내 엔젤투자 규모

엔젤투자는 벤처캐피탈과 달리 개인 투자실적에 대한 신고 및 보고의 의무가 없다. 따라서 국내 엔젤투자 공식통계는 소득공제* 신청자 기준으로 엔젤투자 규모를 산정한다.

* 소득공제 :
벤처기업에 지분투자 또는 관련펀드에 출자하는 경우 종합소득금액의 일정금액 한도로 투자금액의 일정비율을 소득공제하는 제도
* 소득공제비율 추이 :
10%(07.1) → 20%(11.12) → 30%(13.1) → 5천만원이하 50%, 초과 30%(14.1) → 1.5천만원이하 100%, 1.5~5천만원 50%, 초과 30% → 3천만원 이하 100%, 3~5천만원 70%(18.1), 초과 30%


< 개인투자 소득공제실적(19.9월말 기준) >

(단위: 억원, 명, 건, 개사)

구분 ’14년 ’15년 ’16년 ‘17
(‘20.6까지 집계)
‘18
(‘21.6까지 집계)
투자액 876 1,842 2,193 2,519 4,098
투자자 1,129 2,632 4,450 6,690 10,926
투자건 1,237 2,869 5,175 7,913 14,336
기업수 226 411 441 484 671
조세특례제한법에 의해 투자연도부터 3개 과세연도 중 선택적으로 소득공제 신청가능(‘17년 투자는 ’17~‘19년에 소득공제 신청이 가능 → ’17년 통계는 ’20.6월말 최종 확정)

개인투자조합


개인투자조합이란, 개인투자자들이 공동으로 출자하여 우수 중소벤처기업에 투자 할 목적으로 결성한 펀드, 일정요건*을 갖춘 후 중소벤처기업부에 등록

일정요건 :

① 출자총액 1억 원 이상
② 출자 1좌의 금액 100만원 이상
③ 조합원수 49명 이하
④ 업무집행조합원의 출자지분 5% 이상
⑤ 존속기간 5년 이상


< 개인투자조합 결성 및 투자실적 >

(단위 : 개, 백만원)

구분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신규조합
(상반기)
1
-
1
-
-
-
11
(5)
19
(10)
28
(9)
43
(16)
130
(55)
174
(63)
302
(120)
신규조합
결성금액
약정 230 700 - 3,628 29,109 9,113 26,508 72,509 91,092 200,947
납입 230 700 - 3,628 29,109 9,113 26,508 70,277 86,308 164,593
해산조합 - - - - 3 2 9 8 6 17
해산조합
결성금액
- - - - 1,615 609 22,419 3,959 3,205 9,333
조합수
(누계)
1 2 2 13 29 55 89 211 379 664
결성액
(누계)
약정 230 930 930 4,558 32,052 40,556 44,645 113,195 201,082 392,696
납입 230 930 930 4,558 32,052 40,556 44,645 110,963 194,066 349,326

주1) 2016년 모태펀드 출자 개인투자조합은 Capital Call 방식으로 10%만 납부
주2) ‘( )’는 상반기 수치임

신규 엔젤클럽 소개

클럽명 무풍지대 엔젤클럽
가입승인일 2019.08.14
임   원 이진국 회장, 정미숙 총무
관심분야 IT 기술, 4차 산업혁명 분야

클럽명 Biovation 엔젤클럽
가입승인일 2019.08.29
임   원 이소정 회장, 신동선 총무
관심분야 바이오헬스케어 분야(신약, 진단, 의료기기, 화장품, 헬스케어, IT)

클럽명 GTR Game Startup 엔젤클럽
가입승인일 2019.08.30
임   원 김호규 회장, 이지원 총무
관심분야 Gloabl Game Startup, Game Service 관련 기술/운영/마케팅 분야

클럽명 한남엔젤클럽
가입승인일 2019.08.30
임   원 육상조 회장, 박근애 총무
관심분야 한남대학교 창업지원단 졸업 및 선정기업의 후배창업자 양성

클럽명 빅히트 엔젤클럽
가입승인일 2019.09.16
임   원 장민영 회장, 오상훈 총무
관심분야 ICT, BigData 등 Digital Transformation 영역

해외 엔젤투자동향

해외 통계는 미국 HALO Report(Angel Resource Institute)을 기반으로 작성한 것입니다.

□ 미국

엔젤투자현황


미국 지역별 엔젤투자 비중은 캘리포니아가 19.13%로 가장 높게 차지하고 있으며, 남동부가 15.76%, 중대서양주가 11.42%의 순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엔젤투자로는 정보통신이 38.7%로 높은 투자비중을 보이고 있고, 다음으로는 헬스케어가 19.3%, B2C와 B2B산업에 각각 18.2%, 18.5%의 비율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투자 진행 시, 투자자들은 우선주 투자를 절반이상 차지하는 56%의 비율로 가장 선호하고 있으며, 컨버터블노트*는 28%, 보통주는 9%, SAFE**, 사채 등 7%로 선호를 보이고 있다.


컨버터블노트(Convertible note) :
우선 투자하고 향후 성과가 나왔을 때 전환가격을 결정하는 오픈형 전환사채. 투자금을 채권에서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전환사채(CB)와 비슷하지만 발행 시 구체적인 전환가격을 정하지 않고 먼저 투자한 뒤 성과가 나왔을 때 전환가격을 결정한다는 점이 다르다. 실리콘밸리에서는 2000년대부터 대세를 이루고 있다. (출처: 한경 경제용어사전)
SAFE(Simple Agreement for Future Equity) :
조건부지분인수계약은 실리콘밸리의 투자방식으로 후속 투자에서 결정된 기업 가치에 따라 먼저 투자한 투자자의 지분이 결정 되는 혁신적인 투자제도로서, 기업 가치 산정이 어려운 초기 창업기업에 대한 투자를 활성화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출처: 한경 경제용어사전)


< 미국 지역별 엔젤투자비율 >


Northwest
(북서부)
Great Plains
(중부)
Great Lakes
(중동부(오대호))
New York
(뉴욕)
Northeast
(북동부)
6.90% 4.57% 7.37% 9.77% 8.51%
California
(캘리포니아)
Southwest
(남서부)
Texas
(텍사스)
Southeast
(남동부)
Mid-Atlantic
(중대서양주)
19.13% 7.82% 6.05% 15.76% 11.42%


< 미국 지역별 엔젤투자비율 >

(단위 : (오른쪽) 기업가치(Pre-Money), 억원 / (왼쪽) 투자비율, %)

※ Seed와 Series A 통합



투자유형
우선주 컨버터블노트
56% 28%
보통주 SAFE, 사채 등
9% 7%

※ Seed와 Series A 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