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연하장애학회
중환자에게 충분한 영양을 공급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급성기 중환자에서는 쇼크와 심각한 장기부전으로 인해 정맥영양과 경장영양 모두 부적응증이 많고, 이로 인한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아 충분한 영양 공급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경우가 많다. 주요 부적응증으로는 구토, 흡인, 설사, 변비, 고혈당, 정맥영양 관련 간질환(PN-associated liver disease, PNALD), 재급식증후군(refeeding syndrome), 전해질 이상, 고중성지방혈증(hypertriglyceridemia), 지방간(fatty liver), 카테터 관련 합병증 등이 있다. 따라서 급성기에는 소극적 영양 공급이 원칙으로 권장된다.
회복기로 접어들면 단백질을 포함한 적극적인 영양 공급이 시작되며, 부적응증도 호전된다. 그러나 회복된 환자들은 일반병동으로 전동되며, 갓 회복된 환자는 수많은 일반 환자 중 하나가 되어 관리가 소홀해질 수 있다. 대부분의 주치의들은 기저질환으로 두경부 신경계 질환이 없으면 환자가 충분히 먹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영양 공급을 중단하며, 경구 식사로 전환한다. 그러나 이는 회복기의 중요한 시점에서 영양 불량과 탈수, 반복적인 흡인으로 인한 흡인성 폐렴을 초래할 수 있다.
중환자의 연하곤란이 간과된 이유는, 연하곤란이 주로 신경계 질환, 근육 및 근신경계 질환, 두경부 종양, 고령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며, 이들에 대한 진단과 재활 치료는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반해, 중환자의 경우, 연하곤란이 빈번히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중증 환자의 특수성으로 인해 연하곤란의 중요성이 다른 치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며, 진단 방법도 제한적이어서 종종 진단이 지연된다. 이로 인해 합병증이 발생한 후에야 비로소 연하 재활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중환자의 연하곤란은 단순한 삼킴 장애를 넘어 다양한 합병증과 치료 지연을 초래할 수 있어 회복을 저해하고, 중환자실 재입실의 주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신속한 평가와 적절한 개입이 필수적이다.
중환자는 장기간 침상 안정과 영양 불균형으로 인해 근감소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혀, 인두, 후두 및 식도 근육의 기능 저하로 이어진다. 특히, 기계환기와 근이완제 사용 후 연하 근육의 위축이 심화될 수 있다. 또한, 장기간 기계환기를 받은 환자는 후두 및 성대 부종, 점막 손상, 후두 기능 장애 등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다. 기관 내 삽관이 오래 지속되면 후두 반사 저하 및 후두 거상 장애로 인해 연하 기능이 감소할 수 있으며, 기관절개술 시행 후에도 연하 근육의 협응 저하와 기도 보호 기능 감소로 인해 연하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중환자실에서 섬망, 진정제 사용, 저산소증 등의 영향으로 인지 기능이 저하되면 연하 과정의 자발적 조절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위관 영양을 장기간 시행할 경우 구강-인두 운동 기능이 감소하고, 음식물 삼키기에 대한 감각적 자극이 부족해 연하반사가 저하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중환자실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약물이 연하 근육의 조절과 반사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2024년 1월부터 2025년 2월까지 13개월 동안 서울아산병원 중환자실에서 장기간 집중 치료를 받은 후 집중관찰실로 전동한 환자 38명을 대상으로 연하장애 검사를 시행하였다(VFSS, FEES). 검사 결과, 35명(92.1%)에서 연하장애가 확인되었으며, 이들의 평균 중환자실 입원 기간은 22일이었다. 이후 35명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연하 재활을 시행한 결과, 2주후 중증 연하장애 환자는 절반으로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의 환자가 경구 섭취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급성기에서 회복기로 전환되는 시점에 조기 연하 평가 및 재활 치료를 시행하여 연하 기능 회복을 촉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중환자 재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신체 재활 뿐 만 아니라 기능 회복을 돕는 인지 재활과 연하 재활 또한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환자의 기능 저하 수준에 맞는 다양한 재활 치료를 조기에 적용하여 중환자가 회복 후 원활하게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조기 재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하며, 수가를 포함한 의료 환경 개선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