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한중일 무선전력전송 회의 개최(중국 심천)
10월 29일부터 30일 양일간 중국 심천에서 한중일(China-Japan-Korea) 무선전력전송 회의를 개최하였음. 중국에서는 중국통신표준화협회(CCSA, China Communications Standards Association), 일본에서는 사단법인 전파산업회(ARIB, Association of Radio Industries and Businesses), 한국에서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가 참석함. 첫날 일정은 오전에는 한중일 자국내의 무선전력전송 표준개발 또는 규제 동향에 대해 정보를 교류였음. 오후에는 ITU-R SG1, IEC TC 100, AWG, WPC Qi 등의 국제 표준화 기구의 표준개발 동향 등에 대해 정보를 교류하였음. 2일차에는 한중일이 함께 AWG, ITU 등에 공동 제안할 의제에 대해 상호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 하였음. 통상 여기서 함께 개발된 표준은 ITU, AWG에 공동기고하게 됨
- ※ EMP: Equipment Management Platform, OSP: Operation Service Platform, WCCMS: Wireless Charging Control Management System, CSU: Ground Communication Control Unit, IVU: In-vehicle Communication Control Unit, CSU: Communication Service Unit, IVU: In-Vehicle Unit, PFC: Power Factor Correction, PTC: Power Transmit Controller, PPC: Power Pick-up Controller, VCS: Vehicle Control System, PrC: Primary Coil, PuC: Pickup Coil, WPT: Wireless Power Transfer
- ○ 중국 무선전력전송동향
- - 무선 충전(전력 전송) 장비의 전파 관리에 관한 임시 규정"이 MIIT에 의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음. 무선 충전 장비의 허용 작동 주파수 범위는 다음과 같음: 100 ~ 148.5 kHz, 6765 ~ 6795 kHz, 13553 ~ 13567 kHz
- - 모바일 및 휴대용 무선 충전 장비의 송신 전력은 기존 50와트에서 80와트로 증가했음.
- - 이 규정은 2024년 9월 1일부터 공식적으로 시행되었음.
- ○ 중국 전기차 무선충전기의 통신 프로토콜 표준, GBT 38775.2-2020, 소개
- - 이 표준은 전기차의 정지 상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 지상 통신 제어 장치(CSU)와 차량 탑재 통신 제어 장치(IVU) 간의 무선 충전 제어를 구현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 - 무선 충전 제어 관리 시스템(WCCMS)이 무선 충전 제어에 참여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또한 규정하고 있음
- - 이 표준은 다음에 적용됨. 지상 통신 제어 장치(CSU)와 제어 관리 시스템(WCCMS) 간, 그리고 차량 탑재 통신 제어 장치(IVU)와 지상 통신 제어 장치(CSU) 간의 관리 및 제어
- ○ 일본 총무성의 무선충전 규제개발 동향
- - BEAM WPT 시스템을 위한 WPT 규정 (단계 2)의 개발목표가 2024년 3월 ⇒ 2024년 10월 ⇒ 2025년 10월)로 3차례 지연되었음
- - 그 이유로는 일반 환경으로의 사용 사례 확장 가능한 부분을 추가하였고, 인체가 존재하는 사용 사례에서 안전성 보장을 강화하고, 새로운 주파수 대역인 24GHz 대역의 추가를 위해 지연되고 있음
- - 현재 상황은 BWF는 이미 영향 연구를 완료했으며, BWF는 또한 전파 방사 보호 지침에 대한 호환성 연구를 완료했으며, 피해자와의 기존 무선 시스템에 대한 영향에 관한 사전 논의가 거의 완료되었음. BWF는 위의 논의 결과를 MIC에 보고했으며, 단계 2 규제 개발을 위한 공식 논의를 시작할 것을 강력히 요청했음.
- ○ BEAM WPT 시스템을 위한 WPT 규정 (단계 1)(2022년 5월에 발표) 내용
- - 허가된 구내 무선국으로 규제됨
- - 주요 적용 사례는 모바일/휴대용 기기 및 IoT 센서 충전
- - 세 가지 주파수 대역이 할당됨: 917-920 MHz, 2.410-2.486 GHz, 5.738-5.766 GHz
- - 2.4 GHz 및 5.7 GHz 대역은 WPT 제어 환경으로 제한됨
- - 빔 WPT와 기타 무선통신 서비스 간 유해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운영 조정을 지원하는 새로운 조직인 JWPT* (일본 무선 전력 전송 조정 위원회)가 설립됨
- - JWPT: [https://jwpt.jp/](https://jwpt.jp/) (영문 홈페이지는 현재 제작 중)
- ○ BEAM WPT 시스템을 위한 WPT 규정 (단계 2)(개발 목표: ‘24년 3월 ⇒ ’24년 10월 ⇒ ‘25년 10월)
- - 사용 사례를 일반 환경으로 확장 가능
- - 인체가 있는 사용 사례에서도 안전 보장 가능
- - 새로운 주파수 대역 24 GHz 추가
- ○ 일본 총무성은 전기차 무선충전 규제를 Industrial Machinery, AGV와 로봇에 확장 추진 중 (‘25.10월 규제개발 완료 예정)
- - BWF는 이미 영향 연구를 완료했음
- - BWF는 전파 방사 보호 지침에 대한 호환성 연구도 완료했음
- - 기타 무선 시스템에 대한 영향에 대한 피해자와의 사전 논의가 시작되었음
- - 기존 무선 시스템: AM 방송, 표준 주파수 및 시각 신호, 철도 무선 시스템에 대해서는 BWF는 이미 전파간섭 검토를 완료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