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PA News

한국전파진흥협회의
최신 소식을 전파, 하다

영국 규제 기관 Ofcom, 연간 주파수 면허 요금 조정 결정

[개요]

Ofcom은 900㎒와 1800㎒ 대역의 연간 수수료를 21% 인하하고, 2100㎒ 대역의 수수료는 12% 인상시키는 조정안을 발표함

  • 900㎒ 대역에 대해 영국 규제기관 Ofcom은 연간 면허 수수료를 1,097,000파운드로 인하(이전 대비 21% 감소)시키기로 결정함
    • - 1800㎒ 대역의 수수료도 마찬가지로 인하되었으며, 이전 대비 21% 감소한 ㎒당 81만 파운드로 결정되었음
    • - 반대로 2100㎒ 대역의 수수료는 이전 대비 12% 상승한 ㎒당 76만 파운드로 결정되었음
  • 2024년 3월, 영국 이동통신사인 BT/EE는 1800㎒ 대역의 요금에 대한 심사를 요청함
    • - BT/EE는 1800㎒ 대역에 다른 대역과 비교했을 때 너무 비싼 요금이 책정되어 있으며, 시장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함
    • - BT/EE는 또한 “1800㎒ 주파수에 책정된 요금과 현재 주파수 시장 내에서의 가치가 서로 상충한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다”고 밝힘
  • 해당 이동통신사에 의하면, “최근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상대적 요금이 서로 불일치하고 있으며, 1800㎒ 대역은 2.1㎓ 대역에 비해 49%나 높은 요금을 내야 합니다. 요금이 설정된 이래 여러 변화를 겪은 주파수의 공급-수요와 요금 간의 불일치는 효율적인 주파수 사용과 소비자 혜택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이러한 불균형이 해결되지 않으면 이러한 악영향은 더욱 심화될 수 있습니다.” 라고 함
  • 요청 이후, Ofcom은 영국내 모든 이동통신사들과 접촉해 의견을 수집한 결과 VMO2, BT/EE와 Vodafone이 의견서를 제출했다고 밝힘
    • - BT/EE는 Ofcom이 2021년 열렸던 영국의 저대역(700㎒) 및 고대역(3.6㎓) 경매 결과 간에 선형 보간법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함
    • - 해당 통신사는 이러한 방법이 연간 수수료 수준 추정에 관련한 복잡성을 감소시켜 줄 것이라고 생각함
  • 영국의 다른 이동통신사인 Three는 Ofcom이 2021년 700㎒와 3.6㎓ 경매 결과만을 비교 대역으로 사용해 거리 척도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고 제안함
    • - 거리 척도 방식은 1800㎒ 대역과 관련해 낮은 주파수 대역과 높은 주파수 대역 간의 Y/X 비율을 계산함
    • - Three는 2100㎒의 경우 대역의 전파 거리가 짧기 떄문에 Ofcom이 현재 요금을 재산정하여 개정된 1800㎒ 요금보다 낮게 유지해야 한다고 말함
  • Vodafone은 지난 10년간 이동통신사들이 사용하는 기술에는 변경점이 있었고, 주파수 그룹 내 다양한 대역이 가진 기술 특이성이 대부분 사라졌다고 주장함
    • - Vodafone의 관점에서 이는 대역들의 기능적 동등성과 가치가 서로 수렴하고 있음을 의미함
    • - 결과적으로 Vodafone은 연간 수수료가 다음 주파수 분류에 대해서 대체로 동등해야 한다고 제안함
      • · 깊은 실내/실외 커버리지 ― 저대역(700㎒, 800㎒ 및 900㎒)
      • · 얕은 실내/실외 커버리지 ― 중대역 하단(1800㎒ 및 2100㎒)
      • · 용량 ― 중대역 상단(2.3㎓, 2.6㎓, 3.4㎓)
벤치마킹
  • Ofcom은 주파수 요금이 가장 최신의 경매를 참조해 갱신되어야 한다는 통신사들의 의견에 동의함
    • - Ofcom은 “연간 수수료를 책정하는 가장 적절한 방법은 다른 대역의 모바일 주파수에 대한 최근 경매 결과를 다른 관련 근거 자료와 함께 사용하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가능한 경우) 다른 유럽 국가에서의 경매 결과도 포함되며, 이는 과거에 연간 수수료를 사용했을 때와 유사한 방식입니다.” 라고 말함
    • - 영국 내에서 가장 최근에 있었던 경매는 2013년 3월의 800㎒와 2.6㎓ 경매, 2018년 4월의 2.3㎓와 3.4㎓ 경매, 그리고 2021년 4월의 700㎒와 3.6㎓ 경매가 있음
  • Ofcom은 “900㎒의 경우 1㎓ 미만 모바일 주파수 대역에 대한 관련 경매 기록에 초점을 맞출 것을 제안하며, 이에 따라 1㎓ 미만 주파수 가치의 융합과 관련된 Vodafone과 VMO2의 의견서에 주목합니다.” 라고 말함
    • - 1800㎒와 2100㎒에 대해 Ofcom은 BT가 제안한 것과는 약간 다른 접근 방식을 제안했는데, 이는 영국뿐만 아니라 유럽 경매 또한 근거 자료로 참조하기 때문
  • 2015년 이전/이후의 900㎒ 티어 1 벤치마킹(출처:Ofcom)

  • 제안된 거리 척도 방식은 유럽 국가에서 800㎒/2100㎒와 더 높은 주파수 비교기 대역(Y)간 값의 차이를 더 낮은 주파수 비교기 대역과 더 높은 주파수 비교기 대역(X)간의 값 차이로 나누어 계산함
  • Ofcom은 또한 영국 소비자 물가 지수를 이용해 영국 및 국제 벤치마크 경매의 가격을 인플레이션에 맞게 조정했으며, 이후로도 매년 물가 지수를 반영한 요금 책정이 진행될 것이라고 밝힘
    • - Ofcom은 “주파수 요금 책정에 대한 전략적 검토(SRSP) 및 모바일 주파수 관리에 대한 접근 방식을 다룬 2024년 1월 검토안에 명시된 대로, 우리는 기본 주파수의 시장 가치(기회 비용)을 반영하는 수수료 설정이 주파수의 최적 사용을 확보해야 할 것을 포함한 법적 의무와 일치한다고 생각합니다.” 라고 말함
    • - 운영자들은 제안서에 2025년 3월 7일까지 의견을 제출할 수 있음

2025년은 Wi-Fi 7의 중요한 해가 될 것

[개요]

Wi-Fi 7 장비는 2024년에 등장하기 시작했지만 2025년이 출시의 중요한 해가 될 것으로 보임

  • Wi-Fi 7은 현재 무선 인터넷 표준의 최첨단으로, 이전 표준보다 더 많은 대역폭, 더 짧은 대기 시간 및 더 높은 복원력을 제공함
    • - 1년 전만 해도 2024년이 Wi-Fi 7의 도약의 해가 될 것이라는 추측이 있었으나, 그것이 실제로 발생했는지 여부는 관점의 문제임
  • Wi-Fi Alliance의 마케팅 부사장인 모린 갤러거(Maureen Gallagher)는 Network World와의 인터뷰에서 "Wi-Fi Certified 7은 2024년 1월에 도입되었으며 강력한 추진력을 보이고 있다"고 말함
    • - 또한 그는 "Wi-Fi Certified 7은 Wi-Fi Alliance 내의 광범위한 협업과 혁신의 정점을 나타내며 전 세계 제품 상호 운용성과 강력하고 정교한 장치 에코시스템을 촉진한다."라고 덧붙임
  • 그러나 2024년 Wi-Fi와 관련하여 두 가지 매우 다른 이야기가 있음
    • - 바로 소비자 이야기와 기업의 이야기임
  • Wi-Fi Alliance에 따르면 2024년에만 2억 6,900만 대의 Wi-Fi 7 기기가 출하되었음
    • - 소비자 측면에서는 Samsung Galaxy S24 Ultra, Google Pixel 9 및 Apple iPhone 16을 포함하여 Wi-Fi 7을 지원하는 여러 주요 장치를 사용할 수 있음
  • 엔터프라이즈 시장을 보면 다른 관점에서 볼 수 있음
    • - 가트너(Gartner)의 수석 애널리스트 크리스티안 카날레스에 따르면 2024년 첫 9개월 동안의 전 세계 추정치에 따르면 Wi-Fi 7 액세스 포인트 출하량은 500,000대를 약간 넘어섰음
    • - 이는 전체 Wi-Fi 액세스 포인트 유닛 배송량의 2%에 해당함
  • IDC의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 담당 선임 리서치 매니저인 브랜든 버틀러에 따르면 2024년 3분기(IDC가 보유한 가장 최근 분기)에 Wi-Fi 7은 엔터프라이즈급 종속 액세스 포인트(AP) 매출의 약 5%에 불과함
  • 2024년은 최초의 공식 인증 및 소비자 기기 배포와 함께 이 기술의 획기적인 해가 될 수 있지만, 2025년은 진정한 성장이 있는 해가 될 수 있음
  • 가트너의 카날레스(Canales)는 2025년 와이파이 7에 대한 자사의 예측이 전체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유닛 출하량의 10%까지 증가할 것이라고 밝힘
    • - 직원 수가 100명 미만인 소규모 비즈니스 부문만 살펴보면 약간 더 강력한 예측을 할 수 있음
    • - 가트너는 Wi-Fi 7이 2025년 중소기업 부문의 13%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함
  • IDC는 또한 2025년을 Wi-Fi 7에 있어 중요한 해로 보고 있음
    • - 버틀러는 "2025년이 Wi-Fi 7 도입의 변곡점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으며,
    • - "25년 말까지 엔터프라이즈급 종속 AP 매출의 약 17%가 Wi-Fi 7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27년까지 새로운 엔터프라이즈급 종속 AP 매출의 약 절반이 Wi-Fi 7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함
  • Wi-Fi Alliance가 25년 이후 Wi-Fi 7의 성장 전망에 대해 특히 낙관적인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님
    • - 갤러거는 "Wi-Fi 7은 28년까지 21억 개 이상의 기기가 출하되는 광범위한 생태계에서 빠르게 채택될 것"이라고 말함
  • 그녀는 PC, 태블릿 및 액세스 포인트가 Wi-Fi 7의 얼리 어답터가 될 것이며,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 및 AR/VR(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장비는 계속해서 초기 시장의 견인력을 얻을 것이라고 말함
  • 갤러거는 "Wi-Fi Certified 7은 오늘날 무선 연결의 한계를 뛰어넘고 있으며, Wi-Fi 7 채택은 Wi-Fi 6가 마련한 기반 위에 구축되어 시장이 6GHz 대역으로 구현되는 급속한 기술 발전에 더 익숙해짐에 따라 유사하거나 더 빠른 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함
  • 모든 주요 엔터프라이즈 Wi-Fi 네트워킹 공급업체는 이제 각자의 포트폴리오에 Wi-Fi 7을 보유하고 있음
    • - 그렇다면 기업은 왜, 언제 Wi-Fi 7로 이전을 모색해야할까?
  • 아리스타 네트웍스의 코그너티브 와이어리스 담당 이사인 스리람 벤키테스와란은 네트워크 월드와의 인터뷰에서 2025년에 Wi-Fi 네트워크를 구축하거나 교체할 계획인 대기업은 Wi-Fi 7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고 말함
    • - 그는 엔터프라이즈 스펙트럼의 상단에서 고객들이 미래의 투자를 보장하기 위해 Wi-Fi 7에 점점 더 집중하고 있다고 언급함
    • - 물론 Wi-Fi 7을 통해 대역폭, 대기 시간, 안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기술 성능 이점도 있음
  • “Wi-Fi 액세스 포인트 하드웨어는 일반적으로 5년에서 7년에 걸친 교체 주기를 거친다"라고 Venkiteswaran은 말함
    • - 또한 그는 "Wi-Fi 7을 구축하면 조직이 반복적인 운영 비용을 피하고 이 기간 내에 빈번한 업그레이드의 필요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라고 덧붙임
  • Wi-Fi 7이 현재 사용 가능하고 성능 향상을 약속한다고 해서 모든 기업이 Wi-Fi 7을 서둘러 채택해야 하는 것은 아님
  • 포레스터의 애널리스트 안드레 카인드니스는 "전반적으로 W-Fi 7은 Wi-Fi 6 또는 AC Wave 2 (802.11ac)보다 더 이상 흥미롭지 않을 것이며 동일한 채택 주기를 따를 것"이라고 말함
  • 카인드니스의 관점에서, 대부분의 경우 조직은 이미 필요한 무선 대역폭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단순한 현실임
    • - 더 높은 대역폭, 보안 기능, 로밍, AI, 저전력 에너지 설정 및 기타 요소는 하드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더 큰 동력임
  • 그는 "기업들은 다른 AP의 노후화가 진행됨에 따라 Wi-Fi 7을 배포할 것"이라고 말함
    • - 또한 그는 "네트워킹 조직은 기분을 좋게 하거나 Wi-Fi 7의 메시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이를 수행할 것"이라고 덧붙임

ETRI, 한국에서 핵심 6G 시연 완료

[개요]

ETRI가 3GPP에서 제시한 6G 표준을 통합하여 광범위한 미래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설계된 기술을 개발함

  • 한국 전자통신연구원 (ETRI)은 6세대 이동통신 개발에 있어 획기적인 진전을 이룬 200Gbps 무선 링크 시연에 성공했다고 밝힘
  • ETRI는 발표문에서 작년 말에 완료된 이번 성과가 이러한 속도로 작동하는 세계 최초의 개념 증명(PoC) 6G 이동통신 시스템 이라고 주장함
  • ETRI가 개발한 기술은 3GPP에서 제시한 6G 표준을 통합하여 광범위한 미래 모바일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설계되었음
    • - ETRI는 이 시스템이 초고주파 Sub-THz 스펙트럼에서 10GHz의 넓은 대역폭을 활용하고 다중 지점 송수신 기술을 사용한다고 언급함
    • - 연구팀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시에 전송하는 4개의 기지국 무선 장치(RU)와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고급 빔포밍을 사용하여 200Gbps 이상의 결합 전송 속도를 달성함
  • 이를 달성하기 위해 ETRI는 신호 전송 및 수신을 위한 혁신적인 방법, 고급 간섭 감소 기술, 대용량 데이터 채널을 관리할 수 있는 인코딩 및 디코딩 기술을 구현함
    • - 이러한 개발은 데이터 처리량을 4배로 늘리고 실내 피코셀이나 고해상도 감지와 같은 단거리, 대용량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Sub-THz 주파수의 잠재력을 보여주었음
  • ETRI는 이러한 성과가 국내 파트너와의 협력적 노력과 수년간의 기초 작업을 통해 가능했다고 강조함
    • - 이 연구는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술기획평가원(IITP)의 지원을 받았음
    • - 주요 협력자로는 삼성전자, 클레버로직, 에스넷ICT, 코모텍이 있음
  • ETRI는 2020년 한국의 6G 비전을 수립한 이후 국제 표준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ITU-R IMT-2030 프레임워크에 기여하며, 정부 지원 이니셔티브를 통해 핵심 6G 기술을 발전시켜 왔다고 밝힘
    • - 여기에는 2020년에 시작된 6G 핵심 기술 개발 프로젝트와 작년에 시작된 차세대 네트워크 산업 기술 개발 프로젝트가 포함됨
  • ETRI 연구팀은 3월에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obile World Congress(MWC) 2025에서 이 기술을 다른 6G 혁신과 함께 선보일 계획임
    • - 이 전시회에서는 200Gbps Sub-THz 무선 통신, O-RAN 기반 E-MIMO, vRAN, AI 기반 무선 액세스, 저궤도 위성 통신 및 초정밀 서비스 네트워크를 포함한 핵심 기술을 강조함
  • ETRI 입체통신 연구실 백용순 박사는 세계 최초로 200Gbps 6G PoC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시연함으로써 한국이 이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에 있음을 강조함
  • 203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출시될 예정인 6G 이동통신을 통해 몰입형 메타버스 경험, 초연결 IoT, 자율주행차, 항공 이동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이 가능해질 것임

6GHz 자동 주파수 조정(AFC) 채택 현황

[개요]

  • 현재 6GHz 자동 주파수 조정(AFC)은 미국과 캐나다에서 운영 중이며, 여러 국가가 그 가능성을 평가하고 있음
    • - Wi-Fi 6E와 Wi-Fi 7 장치의 공존에 대한 우려로 FCC는 송신 전력 규제를 정하고 AFC를 도입함
    • - WBA는 AFC가 신중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상업적 기회와 비상업적 접근 방식이 공존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현재 6GHz 자동 주파수 조정(AFC)은 미국과 캐나다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여러 다른 국가에서도 그 가능성을 평가하고 있음
    • - 2020년 4월,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는 6GHz 대역에서 비면허 Wi-Fi 사용을 위해 1,200메가헤르츠의 스펙트럼을 제공했으며, 이는 Wi-Fi 6E라고 불리는 기능임
    • - 많은 이들은 이 결정을 기념비적이고 역사적인 것으로 평가함
    • - 당시 무선 브로드밴드 얼라이언스(WBA) CEO인 티아고 로드리게스는 "Wi-Fi 6E는 가능한 것의 규칙을 다시 쓸 것"이라며, "더 높은 속도와 낮은 대기 시간, 5G 네트워크에 상응하는 서비스 수준"을 가져올 것이라고 말함
  • 하지만 비면허 Wi-Fi 6E와 Wi-Fi 7 장치가 6GHz 대역에서 기존의 면허 사용자, 예를 들어 고정 위성 제공업체와 공존하는 것에 대한 우려가 있음
    • - 이에 따라 FCC는 이 대역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Wi-Fi 장치에 상당한 제약을 처음에 부과함
    • -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6GHz 사용자와의 잠재적 간섭을 피하기 위해, FCC는 이 대역에서 운영되는 Wi-Fi 장치에 대해 서로 다른 송신 전력 규칙을 가진 두 가지 유형의 장치 분류를 정의함
      • · 실내 Wi-Fi를 위한 저전력 액세스 포인트(AP)와 실내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준 전력 AP임
  • 표준 전력 AP가 6GHz 대역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FCC는 6GHz 운영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스펙트럼 사용 조정 시스템인 자동 주파수 조정(AFC)을 설정함
    • - 이는 CBRS 무선 운영을 지원하는 유사한 시스템과 유사함
    • - 특히 실외에서 사용될 때, 표준 전력 AP는 해당 지역의 기존 6GHz 사용자와 간섭할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에, AFC는 실외 상황에서 가장 유용할 것임
  • 2024년 초, FCC는 Qualcomm, Broadcom, Comsearch, Federated Wireless, Sony, Wi-Fi Alliance, Wireless Broadband Alliance의 AFC 시스템을 승인하여 이 대역에서 Wi-Fi 장치의 스펙트럼 접근 관리를 진행하도록 함
    • - 그러나 WBA의 최신 연례 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AFC가 주요 상업적 기회를 제공하는 것처럼 보였던 순간이 있었지만, 텔레콤 인프라 프로젝트(TIP)에서 운영하는 오픈 AFC 소프트웨어 프로젝트가 가장 인기 있는 구현 방식으로 나타남
    • - 현재까지 WBA, Wi-Fi Alliance, Broadcom이 미국에서 FCC 승인을 받은 AF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를 채택함
  • 앞으로 WBA는 오픈 AFC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와 상업적 접근 방식이 공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Comsearch와 Qualcomm과 같은 일부 기업은 상업적 제공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 WBA는 전 세계적으로 AFC가 "신중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구현에 대한 "재해"는 보고되지 않았다고 언급함
    • - 현재 AFC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와 콜롬비아는 AFC를 위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제안했으며, 호주, 브라질, 한국을 포함한 여러 다른 국가가 그 가능성을 평가하고 있음
  • Wi-Fi Alliance 이미지 제공

캐나다, 위성을 활용한 이동통신 보완 서비스 정책 발표

[개요]

캐나다 정부가 위성을 활용한 이동통신 서비스 확대를 위한 주파수 정책을 발표

  • 새로운 주파수 정책은 통신사업자 등 서비스 제공업체가 위성을 통해 이동통신 서비스를 보완할수 있도록 지원
  • 특히, 새로운 정책은 통신서비스가 부족한 지역에서 이동통신 서비스 확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며, 농촌지역 및 원주민 거주 지역 등이 포함될 예정임.
  • 해당 정책을 통해 911 긴급 서비스 접근성 향상, 이동통신망 투자 확대 등의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
  • 캐나다 정부(Decision on a Policy, Licensing and Technical)는 이번 정책을 개발했으며, 2025년 후반부터 상용화될 예정이라고 발표함
  • 캐나다는 위성 활용 이동통신 주파수 정책 및 규제 조치를 선제적으로 시행한 세계 최초 국가 중 하나 임.

삼성 갤럭시 S25의 위성 문자 기능, 버라이즌 사용자도 이용 가능

[개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버라이즌 고객들은 이제 이동통신망이 닿지 않는 지역에서도 긴급 서비스에 연락하고 문자를 보낼 수 있음

  • 아이폰은 수년 전부터 위성을 이용한 긴급 메시지 전송 기능을 제공해 왔지만,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은 이 기능에서 다소 뒤처져 있었음
    • - 최근 출시된 구글 픽셀 9 시리즈 등 일부 모델에서만 위성 연결을 지원했기 때문임
    • - 그러나 이제 버라이즌이 삼성 갤럭시 S25 시리즈 사용자에게도 위성 연결을 제공하기 시작함
    • - 기자는 이 기능이 실제로 작동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음
  • 2025년은 위성과 스마트폰 간의 직접 연결이 본격적으로 확장되는 해가 될 것으로 보임
    • - 일부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은 특정 모델에 위성 연결을 도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동통신사들은 위성 회사와 협력해 자사 고객들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려 하고 있음
    • - T-모바일은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네트워크를 활용한 자체 시스템을 베타 테스트 중이며, 버라이즌은 갤럭시 S25를 통해 위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시연함
  • 버라이즌은 지난해 8월 위성 네트워크 업체 Skylo와의 협력을 발표하며 자사 이동통신 가입자들에게 위성 연결을 제공할 계획을 공개함
    • - 최근 진행된 화상 통화를 통해 Skylo 측은 이 기능이 일반 문자 메시지 서비스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직접 시연함
  • 시연에서는 삼성의 레퍼런스 기기(내부 테스트용 스마트폰)가 사용되었으며, 이에는 구글 픽셀 9에도 탑재된 엑시노스 5400 모뎀을 장착하고 있었음
    • - 이 기기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오직 위성 연결만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주고받도록 구성되었음
  • Skylo 관계자는 기자의 개인 휴대전화 번호를 요청한 후 SMS 메시지를 전송했고, 약 8초 만에 도착하였고, 또 다른 메시지는 27초가 걸렸음
    • - 기자가 답장을 보냈을 때는 17초 후 상대 기기로 전달되었음
    • - 이때 사용된 레퍼런스 기기는 실제 긴급 구조 서비스가 아닌 Skylo의 테스트 서버로 연결된 상태였지만, 위성을 통한 문자 메시지 전송 과정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짐
  • Skylo의 서비스는 애플의 아이폰에서 제공하는 ‘긴급 구조 요청(Emergency SOS)’과 유사한 방식으로 긴급 구조 서비스와 연결될 수도 있음
    • - 시연에서는 사용자가 응급 상황의 세부 사항과 심각성을 평가하는 질문지를 단계별로 진행하고, 이 정보가 실시간 상담원에게 전달된 후 최종적으로 해당 지역의 긴급 구조 서비스로 연결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음
  • Skylo의 글로벌 마케팅 총괄인 피트 살라디노(Pete Saladino)는 “우리가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실제 상용화 수준의 사용자 경험이며, 이를 최대한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라고 설명함
    • - 이어 그는 “이미 궤도에 있는 위성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도 우리의 강점”이라고 덧붙임
  • 애플은 글로벌스타(Globalstar)와 협력해 아이폰 14, 15, 16 및 16E 모델에 위성 연결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막대한 투자를 진행함
    • - 반면, Skylo는 자체 위성을 보유하지 않고 있으며, 대신 비아샛(ViaSat), 에코스타(EchoStar), 인마샛(Inmarsat) 등 6개 위성 네트워크 제공업체와 협력해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음
    • - Skylo는 일종의 ‘신호 관리자’ 역할을 수행하며, 삼성 갤럭시 S25 사용자가 기존 궤도 위성 네트워크를 통해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지원함
  • 이미 운영 중인 위성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은 버라이즌이 위성 연결 경쟁에서 가지는 강점임
    • - 다만, 현재로서는 갤럭시 S25 모델에서만 해당 기능이 지원됨
    • - 픽셀 9 시리즈는 Skylo와 별도의 계약을 통해 위성 연결을 제공받고 있으며, T-모바일과 스페이스X는 지난달 스타링크 위성을 활용한 베타 서비스를 시작함
    • - 이 서비스는 버라이즌과 AT&T 가입자도 이용할 수 있음
    • - 한편, AT&T는 AST 스페이스모바일(AST SpaceMobile)과 협력해 위성 연결을 제공할 계획이며, 최근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로부터 서비스 테스트 승인을 받았음
  • 현재 Skylo가 활용하는 위성 네트워크는 전 세계적으로 약 5천만 평방킬로미터(미국 육지 면적의 약 5배)를 커버하고 있음
    • - Skylo와 협력하는 6개 위성 네트워크 업체는 각각 크기와 성능이 다른 위성을 운영하고 있지만, Skylo는 사용자 경험을 균일하게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함
    • - 예를 들어, 특정 지역에서는 사진을 전송할 수 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임
  • 현재까지 스마트폰의 위성 연결은 SMS 문자 및 소량의 데이터 전송(아이메시지 등)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고도화된 통신 서비스는 지원되지 않음
    • - 그러나 Skylo는 ‘25년 말 또는 ’26년 중반까지 위성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 계획이라고 밝힘
  • 이제 삼성 갤럭시 S25와 버라이즌 사용자들도 위성을 통한 긴급 메시지 전송이 가능해지면서, 이동통신 신호가 닿지 않는 곳에서도 보다 안전한 통신 환경을 이용할 수 있게 됨
    • - 2025년 이후 스마트폰의 위성 연결 기술이 얼마나 발전할지 기대됨

총무성, 5.2㎓ 대역 무선 LAN의 상공 이용에 관한 제도 정비

[개요]

총무성은 5.2㎓대 주파수의 상공 이용 여부와 관련해 전파법 시행 규칙 및 무선국 개설 구역 등의 일부 개정안 관련 의견 모집을 시행하였으며, 결과를 토대로 규정 정비를 실시할 것을 고지

  • 최근 드론 등의 무선 LAN 기술이 활용되면서 5㎓대 주파수의 상공 이용 요구가 증가
    • - 또한 해당 기술을 통해 정밀도 높은 영상의 송수신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교량 등의 인프라 점검이나 공중 촬영을 통한 영상 제작 등 다방면에서의 활용을 기대
  • 따라서 총무성은 관련 전파법 개정안을 작성해 공표하였으며, 이 개정안의 다음과 같은 부문에서 의견을 모집함
    • - 전파법 시행 규칙을 일부 개정하는 개정안
    • - 총무 대신이 고시하는 주파수 및 장소를 지정하는 전파법의 일부 개정에 대한 고시
    • - 5,150㎒~5,250㎒ 대역 주파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국의 개설 구역 지정
    • - 총무 대신이 고시하는 무선 설비 지정 규정의 일부 개정에 대한 고시
  • 의견 모집 결과 본 안건으로 답변할 수 없는 대상 외 의견만이 접수되었기 때문에 모집된 의견과 관계없이 해당하는 규정의 정비를 실시할 예정

모바일 로봇 충전소 시장, 2031년까지 15.9% CAGR로 380억 달러에 도달

[개요]

글로벌 모바일 로봇 충전소 시장은 2024년부터 2031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15.9%로 성장하여 2031년까지 380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됨. 이러한 급증은 제조, 물류, 창고와 같은 산업의 자동화로 인해 촉진됨. 북미는 15.4% 연평균 성장률로 선두를 달릴 것으로 예상되고 아시아 태평양은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18.3%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모바일 세그먼트는 2024년에 64%의 점유율로 우위를 점할 것으로 예상되며 주차 시설은 상업용 애플리케이션 시장의 36.1%를 차지할 것임. 무선 및 자율 충전 기술이 인기를 얻고 있으며 효율성과 지속 가능성이 향상되고 있음.
모바일 로봇 충전소 시장은 자동화에 대한 수요 증가와 다양한 산업에서 로봇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향후 10년 동안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기술 발전으로 충전소의 기능이 지속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시장은 계속 진화하여 기업이 운영을 최적화하고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임.

2031년까지 380억 달러의 가치가 예상되는 이 시장은 더 광범위한 로봇 및 자동화 환경에서 중요한 부분이 될 것임.

  • 물류, 의료, 제조와 같은 산업이 다양한 작업에 자율 로봇에 점점 더 의존함에 따라 모바일 로봇 충전소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음. 이러한 로봇은 자재 취급에서 살균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수행하며, 지속적인 작동에 대한 의존성으로 인해 효율적이고 확장 가능한 충전 인프라에 대한 시급한 필요성이 발생함. 모바일 로봇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회사는 로봇이 중단 없이 24시간 작동할 수 있도록 모바일 충전소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음.
  • 여러 요인이 모바일 로봇 충전소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
    • 1. 자동화 도입 증가
      : 산업 전반의 회사가 효율성을 개선하고 노동 비용을 줄이기 위해 자동화로 전환하고 있음. 자율 주행 모바일 로봇(AMR) 및 자동 가이드 차량(AGV)과 같은 로봇의 사용은 창고, 공장 및 병원에서 널리 퍼져 신뢰할 수 있는 충전 인프라에 대한 필요성을 촉진하고 있음.
    • 2. 충전 기술의 발전
      : 무선 충전, 고속 충전 및 충전소 최적화의 혁신은 모바일 로봇 충전소의 기능과 매력을 개선하고 있음. 이러한 발전은 충전을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어 로봇의 가동 중지 시간을 줄이고 운영 생산성을 향상시킴.
    • 3. 비용 효율성 및 효율성
      : 모바일 로봇 충전소의 비용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더 많은 산업이 이러한 시스템을 전반적인 자동화 전략의 일부로 채택하고 있음. 충전소는 로봇의 가동 시간을 늘리고 수동 개입의 필요성을 줄임으로써 상당한 가치를 제공함.
    • 4. 24시간 연중무휴 운영에 대한 수요 증가
      : 전자상거래, 제조, 의료와 같이 24시간 운영되는 산업은 로봇이 중단 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솔루션이 필요함. 모바일 로봇 충전소는 로봇을 충전하고 작업에 대비할 수 있는 완벽한 솔루션을 제공함.
  • 모바일 로봇 충전소는 다양한 산업에서 자동화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음.
    • 1. 물류 및 창고
      : 자율 모바일 로봇은 주문 피킹, 선반 스캐닝, 자재 운송과 같은 작업을 위해 창고에서 널리 채택되고 있음. 이러한 로봇은 자주 충전해야 하므로 충전소는 창고 인프라의 중요한 부분임. 모바일 충전소를 사용하면 로봇이 사용하지 않을 때 자율적으로 충전하여 항상 작업을 수행할 준비가 되도록 할 수 있음.
    • 2. 의료
      : 의료 시설에서 로봇은 방 소독, 약물 전달, 물품 운송과 같은 작업에 사용됨. 이러한 로봇은 작동 용량을 유지하기 위해 안정적인 충전 인프라가 필요함. 의료 환경에서 모바일 로봇 충전소는 로봇이 중요한 환경에서도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됨.
    • 3. 제조
      : 제조 공장에서 로봇은 조립, 검사, 자재 취급과 같은 다양한 작업에 활용됨. 모바일 충전소는 이러한 로봇이 지속적으로 작동하여 가동 중지 시간을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함.
    • 4. 리테일
      : 리테일 산업은 고객 서비스, 재고 관리, 선반 스캐닝과 같은 작업에 로봇을 점점 더 많이 도입하고 있음. 모바일 충전 스테이션은 이러한 로봇을 작동하고 효율적으로 유지하여 충전을 위한 일관되고 안정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필요함.
  • 급속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모바일 로봇 충전소 시장은 진전을 늦출 수 있는 몇 가지 과제에 직면해 있음. 한 가지 주요 과제는 다양한 유형의 로봇과 충전소를 통합하는 것임. 다양한 로봇은 전력 요구 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충전소는 유연하고 다양한 모델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함. 또한 일관된 로봇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충전소의 신뢰성과 견고성이 보장되어야 함. 또 다른 과제는 충전 인프라에 대한 초기 투자임. 모바일 로봇 충전소의 장기적 이점은 분명하지만, 대규모로 충전소를 구현하려는 기업에게는 초기 비용이 상당할 수 있음. 특히 소규모 기업은 투자 수익이 명확하지 않으면 이 기술에 투자하는 데 주저할 수 있음.
  • 모바일 로봇 충전소 시장은 모든 지역에서 상당한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북미와 유럽이 제조 및 물류에서 자동화를 빠르게 도입하면서 선두를 달리고 있음. 아시아 태평양 지역도 중국,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에서 로봇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상당한 성장을 경험하고 있음. 북미 시장은 주로 대형 전자 상거래 업체와 운영에 자동화 솔루션을 도입하는 제조 회사의 존재에 의해 주도되고 있음. 유럽에서는 독일과 영국과 같은 국가가 스마트 제조 및 자동화 기술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으며, 이는 모바일 로봇 충전소 시장 성장에 기여하고 있음.
  • 앞으로 모바일 로봇 충전소 시장은 강력한 성장 궤도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며, 산업의 미래를 형성하는 주요 트렌드는 다음과 같음.
    • 1. 스마트 인프라와의 통합
      : 스마트 도시와 공장이 보편화됨에 따라 모바일 로봇 충전소는 더 광범위한 스마트 인프라 네트워크의 필수적인 부분이 될 것임. 이를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 예측 유지 관리 및 충전소 최적화가 가능해짐.
    • 2. 무선 충전 및 유도 기술
      : 무선 충전 및 유도 기술의 개발은 로봇 충전 방식에 혁명을 일으켜 프로세스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만들 것임. 이러한 혁신은 물리적 커넥터의 필요성을 줄이고 로봇의 전반적인 충전 경험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임.
    • 3. 배터리 기술 발전
      : 대용량, 고속 충전 배터리의 지속적인 개발은 모바일 로봇의 성능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보다 정교한 충전소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질 것임.
    • 4. 에너지 효율적인 충전 솔루션
      : 산업 전반에 걸친 지속 가능한 관행에 대한 추진은 에너지 효율적인 충전소에 대한 수요로 이어질 것임.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고 재생 에너지원을 활용하는 충전소는 탄소 발자국을 줄이는 데 주력하는 기업에게 점점 더 중요해질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