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바로가기

1. 미국 리포터
<농촌 및 지역 개발을 통한 농업 성장화 전략>
∙ 농촌 및 지역 개발을 통한 농업의 성장산업화 연계 목적의 세 가지 프로그램 실시
- Rural Made Across the Country: 알맞은 가격의 주택, 에너지 효율, 도로, 다리, 인터넷 접송과 지역비지니스의 대출 및 보조금 등을 투자해 비즈니스와 가족을 농촌으로 유치 하여 농촌 지역 자체의 발전을 통해 농업 발전 이룩
- StrikeForce for Rural Growth and Opportunity (지역 발전 및 기회를 위한 StrikeForce): StrikeForce를 통해 400개가 넘는 커뮤니티 조직, 비즈니스, 재단, 그리고 다른 그룹들과 파트너 체결하여 80,300개의 프로젝트 지원
<농촌 지역 일자리 창출 및 경제 활성화 사례>
∙ 국가 사회 기반 시설의 현대화, 에너지 독립성 강화, 교육 기회의 확대, 의료 보건 서비스 향상, 세금 경감 위해 미 농무부는 약 212억 달러 지원
∙ 텍사스 주 남부 농촌 지역의 최신 광대역 통신망 보급으로 지역 주민 및 소규모 재택 사업 주체 들의 온라인 고등교육 프로그램, 직업 탐색, 사업 영역 확대 가능
∙ 뉴멕시코, 민관 협력 통한 스마트 브로드밴드 기술 보급으로 지역 주민들과 학생들은 원격 의료 및 원거리 학습 기회 제공되고 사업 관련 300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 기대
∙ 루이지애나 주, 폐기물을 활용한 수익 창출로 지역 주민들에게 일자리 제공, 소득 수준 향상
∙ 풍력 터빈 설치로 재생 에너지 사업 추진하여 마이너 카운티는 재생 에너지 관련 컨퍼런스 및 교육 센터 설치하고 학생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일반 사업체의 친환경 재생 에너지 사용에대한 인식 확산
<라이프 스타일로서의 농업과 식품산업: 포틀랜드와 킨포크의 사례를 중심으로>
∙ 포클랜드는 미국의 중소도시로 친환경적 지형과 자연주의적 라이프스타일 유명
∙ 이 도시에서는 다양한 수제맥주제조업, 유기농 로컬푸드 식당, 파머스마켓과 푸드카트 등의 가공 유통 서비스 주체들이 지역 농업의 성장과 긴밀하게 연결
∙ 포틀랜드 사례를 통해 농업의 6차 산업화에 스토리와 스타일이 반드시 필요
2. 일본 리포터
<일본농업의 6차 산업화 정책>
∙ 일본 정부 6차 산업 시장규모를 (현재) 1조 엔인 → (2020년) 10조 엔 목표
- (지자체별) 신상품 개발을 위한 기자재 구입비 지원, 가공 및 판매 시설 정비 지원 ∙ 최근 동향은 농업 생산액, 지출 금액 비율이 높은 시설원예 분야 전개사업 활발
<식(食)과 농(農)의 르네상스 헤이메현(愛媛県)의 농산물직매소>
∙ 최근 농산물 직매소사업 추진. 산지직매소 중에서는 농협이 운영하는 직매소가 연간판매액이 가장 높은데, 이 가운데 농산물의 판매와 6차 산업화에 성공한 오찌이마바리농협의(おちいまばり)사이 사이기테야가(さいさいきて屋)의 사례 소개
(주요 운영방식 7가지)
① 어협을 통해 생선판매 코너 운영,
② 점포 안에 자체 정미시설, 저온창고, 잔류농약검사분석실 구축
③ 농가 부담 경감 위해 매일 아침 원격지의 농산물을 직접 수집, 영업시간 후 남겨진 농산물을 다시 각 농가에 배달해주는 집하 방식
④ 채소 잔품은 가공하여 파우더로 사용,
⑤ 식당과 카페를 운영
⑥ 면화의 제배에서 타올 제작까지 모두 지역에서 처리하는 면화프로젝트
⑦ 타블렛을 이용해 물건을 주문할 수 있도록 한 슈퍼사업 등도 도입
3. 말레이시아 리포터
<말레이시아 9차 농업정책 thrust 소개(RMK-9)>
∙ 국가 농업의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새로운 농업 접근방식 도입
- (수행안)
① 농업 생산성 증대: 새로운 성장요인으로 큰 민간 부문 참여
② 농업 기반의 과정활동 및 농산품 다양화 확대
③ 마케팅 및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④ 소농, 농민, 어민들의 소득 향상
⑤ 유통서비스 시스템 개선
- (목표)
① 농원 부문의 3.2%와 비교해 7.6%의 부가가치 성장 생성
② 식품 무역 RM 12억의 흑자 달성
③ 농업 기반 산업을 위한 5.2%의 부가가치 성장 달성
④ 농업기반 산업과 식품 생산활동 상업화 위해 민간 부문으로부터 RM 201억 가치의 투자 유치
⑤ 다양한 상품에 자가 충족 수준(Self sufficiency level) 달성
- (구현 전략)
① 농식품 생산 면적 증대
② 심해와 참치잡이, 해초, 관상어 및 화훼와 같은 성장의 새로운 자원개발
③ 농업 기반 산업의 발달 증진
④ 목표 대상그룹의 수입원 다양화
⑤ 농업 생명공학 및 해양 생명 공학의 이윤 추구
⑥ 마케팅 능력 증진
⑦ 국제 표준과 품질
⑧ 대출 및 인센티브 제공
⑨ 전체 요인 생산성 강조
∙ 9차 말레이시아 농업정책 계획의 구현은 농업부문을 현대화되고 역동적이고 경쟁적인 분야로 혁신적이고 산업화된 국가적 리더십의 전략적인 의도와 부합
4. 우간다 KREI 리포터
<우간다의 농업 성장 산업화>
∙ 우간다는 넓은 농경지와 아프리카에서 가장 비옥한 토양, 풍부한 강수량, 이상적인 기온, 값싸고 풍부한 노동력 등 유리한 조건 보유. 현재 인구의 7배인 2억 1천만 명 이상에게 식량 공급 가능한 재력 보유
∙ 하지만 불량한 종자, 병해충 피해, 토양관리 부실, 관개시설 미비, 낮은 기계화율 등과 같은 원시적인 영농 기술 때문에 우간다 농업 생산성은 세계 최저 수준
∙ 뿐만 아니라 수확 후 관리 등 부가가치 생산기반 전무, 유통기반 취약 등으로 농업 경쟁력이 매우 낮아 우간다 농업 성장 산업화가 절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