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A 용어 알기 출처 바로가기

국가협력전략(CPS: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국가협력전략(CPS)은 개별 수원국에 대한 정부의 중장기 지원 방향, 예산, 지원, 분야를 포함하는 전략으로서, 국가별 지원의 기본적인 지침을 제시하는 문서를 지칭한다. CPS 수립은 양측의 개발 관련 이해 관계자가 참여하는 의사결정의 과정이며, 양측이 정책대화를 통해 공유된 목표를 공식화하는 수단이다

개발재원

개발도상국의 개발을 목적으로 정부가 제공하는 공적개발원조(ODA)와 기타자금을 의미합니다. 기타자금에는 수출신용, 투자금융 등 기타 공적자금과 해외직접투자 등 민간자금, NGOs의 민간 증여 등이 포함됩니다.

파이프라인(Pipeline)

원조공여를 약속한(commit) 차관액 중 지불(disburse)되지 않은 부분을 말한다. 일반적으론 차관협정(L/A)이 체결되어 있는 것에 대한 미지불 부분을 파이프라인이라 말한다. 통상 경제협력의 대상이 되는 기간시설(infrastructure) 관련 프로젝트는 4~5년이 소요되는 경우가 많고, 또한 차관은 프로젝트의 실제 추진실적에 따라 지불되므로 일정한 규모의 파이프라인이 생기는 것이 보통이다.

다자개발은행(MDB: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

다자개발은행 혹은 국제금융기구는 개도국의 경제?사회 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차관의 형태로 지원하거나 전문적인 기술협력을 제공하는 기구이다. 통상 세계은행 그룹(WB: World Bank Group), 미주개발은행(IDB: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아시아개발은행(ADB: Asian Development Bank)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African Development Bank),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의 5개 기구를 통칭한다.

몬테레이 합의(Monterrey Consensus)

2002년 멕시코 몬테레이에서 개최된 ‘개발재원국제회의’에서 이루어진 합의로, 공여국은 2015년까지 원조규모를 GNI의 0.7%까지 확대하고 수원국은 효과적인 개발재원활용을 위한 여러 가지 내부 조치를 취할 것을 담고 있다. 수원국은 굿 거버넌스 확보와 개발과 관련된 정책우선사항의 책정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인정했고, 공여국은 원조금액과 품질을 높이고, 파트너 국가의 정책과 제도에 입각한 원조를 제공하며, 특히 무역개방을 통해 개발도상국이 부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크게 넓혀주어야 한다는 것에 동의했다.

고채무빈곤국 이니셔티브(HIPC Initiative)

IMF와 세계은행이 주도하는 부채탕감을 위한 종합적인 접근방법으로, 채무국이 거시경제 조정과 구조개혁 및 사회정책개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시행할 것을 전제로 가난한 국가들이 감당하기 어려운 외채 중 공적개발원조 차관의 67%, 공적개발원조 외의 공적 채무의 80%까지 삭감할 것을 합의 내용으로 한다.

맨위로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