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개요
○ 일시 및 장소: 2015.10.21.(수) 13:00~17:50, 전남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대회의실
○ 주제: KAPEX 프로그램의 성과와 과제
○ 2015년 KAPEX 사업대상국의 주제발표 및 2014년 KAPEX 사업대상국의 사업추진에 대한 피드백 및 사후 관리 논의
- 1부: 2014년 KAPEX 사업대상국의 주요 성과사례 발표와 사업추진에 관한 피드백
- 2부: 2015년 KAPEX 사업의 주요결과와 ODA 사업제안 발표 및 피드백
- 3부: 2016년 KAPEX 사업대상국 주제선정 배경과 목적
- 4부: 우리나라 농업·농촌개발부문 ODA 사업 추진현황과 SDGs 지표에 기초한 새로 운 성과관리 방안 발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최세균)은 지난 10월 21일 KAPEX(개도국 식량안보를 위한 우리나라 농정성과 확산) 사업의 일환으로 농경연 대회의실에서 ‘KAPEX 프로그램의 성과와 과제’라는 주제로 국제포럼(사진)을 개최했다.
이번 KAPEX 워크숍은 지난 3년간 추진된 KAPEX 사업의 성과 및 과제를 공유하고 개선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워크숍에는 KAPEX 사업 추진 국가(우간다, 베트남, 필리핀, 파라과이, 르완다, 미얀마)와 내년도 사업 예정 국가(몽골, 모잠비크) 등 8개국 21명의 개도국 공무원과 국내 전문가 등 60여 명이 참석했다.
최세균 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한국의 농업ㆍ농촌 발전 경험을 공유하고, 각국의 실정에 맞는 농업ㆍ농촌 정책 수립 및 추진을 위한 밑거름이 되는 시간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2014년, 2015 KAPEX 사업대상국의 주요 성과사례 발표와 사업추진에 관한 피드백 및
2016 KAPEX 사업대상국의 사업주제 발표

Joanne Kisaka
(우간다 메케레대학교 낙농유통학과장)

Kyi Kyi Cho
(미얀마 국가농업연구소장)

Inacio Nhancale
(모잠비크 농업식량안보부
농업기술지도국 지도과장)
세실리아 폴리도(Cecelia Pedrina Polido) 필리핀 농업부 과장은 답사를 통해 “KAPEX 프로그램은 다양한 분야, 특히 공무원 역량 개발 및 농업 기계화 연구와 관련해 큰 도움을 주고 있다”며, “이 같은 워크숍을 통해 지속적인 교류가 이뤄지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이미 큰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이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교류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농업·농촌개발부문 국제협력사업 성과관리

박기욱
(한국농어촌공사 국제농업협력부 과장)

이대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국제농업개발협력센터 연구위원)
워크숍은 2014년도 협력국가(베트남, 우간다)의 KAPEX 사업추진 경험, 2015년도 협력국가(미얀마, 필리핀, 르완다, 파라과이)의 올해 사업 결과, 2016년도 사업 대상국가(모잠비크, 몽골)의 사업 추진 계획을 중심으로 발표가 진행됐다.
또한 향후 국제 농업개발 협력 사업의 지속성과 효과성 제고를 위한 추진방향에 대한 발표와 논의를 끝으로 워크숍이 마무리됐다.
참가자들은 워크숍 후 나주 국제농업박람회와 새마을운동중앙회를 방문, 한국의 농업과 새마을운동에 대해 이해를 높이는 시간도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