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Hunger In The Balance
저자 | 제니퍼 클랩 (Jennifer Clapp) |
출판사 | 코넬대학교 (Cornell University Press; Reprint edition) |
출판일 | 2015년 10월 1일 |
최근 수십 년간 식량 원조는 세계적으로 연속적인 식량 위기에 직면하여 유전자 변형 작물에 대한 첨예한 의견의 불일치와 함께 농업 보조금 및 식량 안보를 확보 하는 방법에 대해서 계속적인 논란이 되고 있다. 「Hunger in the Balance」에서 제니퍼 클랩은 현대 식량원조 정치에서 수여국과 수혜국간의 최근의 충돌에 대한 원인과 결과에 대하여 시기적절하고 포괄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그녀는 수여자의 식량을 조달하는 ‘구속적’인 식량원조와 식량을 구입하는 현금을 제공하는 ‘비구속적’인 원조 방법 간의 근본적인 논쟁을 구별하고 있다. 이러한 논쟁은 특히 주요 식량 원조국인 유럽연합(EU)과 미국사이에서 심화되고 있는데, 그 중 유럽 연합의 GMO 농산물 수입 거부는 미국으로부터 GMO 식품을 허용하는 수혜국들로부터 우려가 제기되고 있음을 예로 클랩은 식량원조에 대한 정치적인 견해 차이의 결과가 일상의 생존을 위해 식량원조에 기댈 수밖에 없는 수억의 사람들에게 심각한 결과를 초래함을 나타냈다. |

2. The Nobel Laureates Guide to the Smartest Targets for the World 2016-2030
저자 | 비외른 롬보르(Bjorn Lomborg) |
출판사 | 코펜하겐 컨센서스 센터 (Copenhagen Consensus Center) |
출판일 | 2015년 11월 1일 |
2000년에 밀레니엄개발목표는 전 세계 빈곤율을 절반으로 줄이고, 유년기 사망률을 3 분의 2로 감소하는 목표를 설정했다. 지금 세계는 향후 15 년간의 목표를 결정해야하는 . 유엔은 169개의 목표를 제시했지만 목표들은 모두 동등하게 효과적이진 않다. 코펜하겐 합의는 대기 오염과 교육에서부터 물에 이르는 22개의 글로벌 주제에 걸쳐 있는 100개 이상의 대상에 대한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이득과 비용을 가늠하기 위해 세계 최고 경제학자 60 팀을 요청했다. 세계는 이 목표들을 위해 2016 년부터 2030년에 2 조 5000 억 달러를 사용할 것이다. 최대효과를 낼 수 있는 목표선정은 최 빈곤국에게 최대의 이익을 줄 수 있으므로 이 책은 우리가 더 좋은 선택을 하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저자 '비외른 롬보르(Bjorn Lomborg)는 덴마크 국립환경연구소 소장으로 유럽에서 가장 유명한 환경 전문가다. 환경과 생태에 관해 '뉴욕타임즈', 'The Globe & Mail', 'Daily Telegraph', 'The Economist' 등에 칼럼을 쓰고 있으며 라디오와 텔레비전의 수많은 토론회에 참가하고 있다. 2001년 세계경제포럼이 뽑은 '차세대 지도자'이며 2004년 타임(Time)이 뽑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100인'에 선정되었다. |

3. 아프리카와 밀레니엄 개발 목표: 진행 상황, 문제, 및 전망
저자 | Charles Mutasa, Mark Paterson |
출판사 |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
출판일 | 2015년 10월 29일 |
이 책은 2000년부터 남아공 케이프 타운에서 CCR이(Centre for Conflict Resolution) 유엔 밀레니엄 개발 목표 달성에 준비해 온 과정을 추적하고 있다. 전문성을 갖춘 학자들과 다양한 분야의 실무자들은 8개의 MDGs를 정치 경제, 구조적 이슈, 지속 가능한 목표 및 인간 개발 목표라는 큰 주제로 13개의 분석 챕터를 구성하였다. 그들은 아프라카가 MDGs를 달성하기 위해 진행했던 상황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며, 어떻게 발전을 가속화하고 아프리카에서 지속가능한 개발 달성 장려에 열중하는 기관에게 지원할 방법을 논의한다. 또한 다양한 행위자들의 역할을 그들의 기여도, 부족점, 및 대륙의 개발 의제를 형성하는 것에 실행 가능한 옵션에 비추어 검토를 하고(아프리카 연합; 아프리카의 지역 경제커뮤니티들, 유엔, 유럽 연합, 시민 사회와 다른 외부 개발 파트너 등 ) 그 목표가 성공적이었는지에 대한 여부와 아프리카의 지속적인 경제와 인간개발을 위해 무엇이 더 남아있는지에 평가를 제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