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S 연하관련 정보

연하장애의 외과적 치료

- 시리즈 1 -

연하장애 환자에서 고려되는
외과적 치료 방법 I - 성대 내전술

이윤세 교수 |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연하장애, 즉 삼킴 기능의 장애는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음식을 제대로 삼키지 못하면 영양 부족이 발생하고, 음식물이 기도로 잘못 들어가 반복적인 흡인성 폐렴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재활치료와 식이 조절이 우선 적용되지만, 이로도 효과가 부족하다면 외과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연하장애를 수술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비침습적 치료와 상대적으로 침습적인 치료가 있습다. 연하장애의 원인에 따라서 수술적 치료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주된 외과적 치료법은 성대마비, 윤상인두근 과긴장, 인두 및 식도 협착을 대상으로 합니다. 이들 중 성대마비에 대한 외과적 수술을 소개하겠습니다.

일측성 성대마비에 대한 내전술

그림1. 좌측 그림에서는 성대가 양측 모두 내전이 되어 성대 폐쇄가 되지만 우측 그림에서는 성대 마비로 인한 성문부폐쇄 부전이 관찰됨.

성대내 주입술은 필러로 사용되는 물질을 성대내에 주사를 하여 측면으로 누워져 있는 성대를 내측으로 밀어주는 방법입니다(그림2).

그림2. 성대외측부에 필러(injection material)를 주사하여 성대를 내전시키는 효과를 유도함.

다양한 제품이 사용되고 있지만 주된 성분은 hyaluronic aci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calcium hydroxylappatite입니다.

이러한 성대내전술에도 성문부 폐쇄가 해결되지 않으면 피부에 절개는 방법이 있습니다.
갑상연골을 열어서 성대를 내전시키는 제1 갑상성형술이 있습니다(그림3).

그림3. 제1갑상성형술. 갑상연골에 절개창을 만들어 성대외측에 블록이나 고어텍스를 넣어 성대를 내전시킴

성대내근육 중 성대를 내전시키는 근육의 운동과 유사하게 실로 고정시키는 방법이 피열내전술이 있습니다(그림 4).

그림4. 윤성연골의 muscular process와 갑상연골을 실로 이용하여 당겨줌. Muscular process가 전방으로 긴장이 유지되면 윤상연골의 vocal process가 내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성대의 위치가 중앙부에 위치하게 됨.

이밖에도 성대의 근육을 재생시키고 내전된 성대의 근긴장을 유지하기 위해 반회후두신경을 재생시키는 신경이식술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다학제적 접근의 중요성

성무부 폐쇄만으로 연하장애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복합적인 원인으로 인해 연하장애가 더 많기 때문에 이비인후과, 재활의학과, 언어치료사, 영양팀 등이 함께 참여하는 다학제적 이 필수적입니다. 연하장애는 단순한 삼킴 기능의 문제가 아니라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외과적 치료는 모든 환자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적절한 환자에서 신중히 선택된다면 매우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환자의 상황을 정확히 평가하고, 다학제적 팀워크 속에서 최적의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우리가 지향해야 할 방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