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십니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국제농업개발협력센터입니다.
다가오는 9월 23일, 국제농업개발사업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적정기술 도입이라는 주제 아래 제 11회 국제농업파트너십 포럼을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여러 일정으로 바쁘시겠지만, 많은 관심과 참석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일시 및 장소
일시 : 2016년 9월 23일 (금) 13:30-17:30
장소 : 서울 aT 센터 창조룸Ⅱ(4층)
세부 프로그램(안)
시간 | 프로그램 | 비고 |
13:30-13:55 | 등록 (25‘) | |
13:25-13:30 | 개회 및 인사말 (05‘) | 김창길 원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1부: 농업 관련 적정기술 도입의 의미와 동향 | ||
13:30-13:50 | 논문1: 개발도상국 농촌/농업 부문 적정기술 도입의 의의와 전망 –적정기술의 탄생과 역사 | 홍성욱 교수 (국립한밭대학교, 적정기술미래포럼 대표) |
13:50-14:10 | 논문2: (가제) 국제개발에서의 지속가능한 적정기술과 비즈니스의 만남 | (미정) |
14:10-14:30 | 논문3: 아프리카 농업의 현주소와 적정기술 도입의 의미, 그리고 전망 | 박영호 박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14:30-14:45 | 토론 (15‘) | 조공장 박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김종선 박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권태진 박사 (GS&J) |
14:45-15:00 | 휴식 (15‘) | |
2부: 농업 관련 적정기술 도입 사례와 전망 | ||
15:00-15:20 | 사례1: 캄보디아·라오스 농촌/농업 부문 적정기술 도입 사례와 전망 | 김만갑 교수 (라오스 MG적정기술센터) |
15:20-15:40 | 사례2: 생물다양성협약과 적정기술 도입 방안 및 사례 | 구교영 대표 (이암허브) |
15:40-16:00 | 사례3: 해외 농촌개발에서의 수자원 활용 관련 적정기술 도입 사례 | 손주형 박사 (한국농어촌공사) |
16:00-16:20 | 사례4: 친환경농업 기술의 보급을 통한 개도국 지역개발 사례와 개발 효과성 | 이창표 과장 (월드비전) |
16:20-16:40 | 사례5: 네팔 허브 가공 사업 운영 사례와 전망 | 안형구 팀장 (굿네이버스) |
16:40-17:00 | 사례6: 캄보디아에서의 실현가능한 DSC(쌀 저장/건조) 기술 도입 및 운영 | 장영창 교수 (건국대학교) |
17:00- | 종합토론, 기념촬영 및 폐회 |
※프로그램 및 세부 제목 변경 가능
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