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1. 한 잔의 커피, 한 잔의 평화

 
저자 경희대학교 국제개발협력연구센터
출판사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출판일 2016.09.06.
경희 국제개발협력연구센터(CIDEC)는 개발협력에 관한 전문 연구, 교육 및 실천을 목적으로 2010년 12월 20일에 설립되었다. 설립 후 학술연구와 정책 연구뿐 아니라 연수, 교육, 컨설팅, 개도국 현지 프로 젝트 실행 등 활동영역을 넓혀왔다. 현재 한국연구 재단 지원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SSK)를 통해 포 괄적 개발 파트너십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KOICA 개도국 현지 CSO 지원, 베트남 꽝찌성 행복 프로그 램 등의 사업을 진행 중이다. 한 잔의 커피, 한 잔의 평화는 동티모르 사업에 참여한 한국 YMCA전국연맹과 경희대학교 활동가들의 뜻있는 기록을 담았으며 저자는 이러한 사업을 단계별로 나누어 세부적으로 다뤄보고자 한다.

2. 쌀의 혁명

 
저자 이철호, 이숙종, 김미령
출판사 식안연
출판일 2016.09.07.
이 책은 우리의 주식인 쌀이 앞으로도 계속 우리의 주식이 되고 우리 농업의 뿌리로 남아있게 하기 위하여 쌀의 수요 창출과 쌀 가공산업의 발전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저술되었다. 아무리 강조하여도 부족한 쌀의 영양학적 우수성과 생리기능성을 다시 짚어보고 쌀의 가치사슬과 산업 규모를 다시 평가하였다. 현대사회의 요구에 맞는 가공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쌀의 물리화학적 가공특성을 살펴보고 유럽에서 빵의 연구를 위해 수행된 주요 연구개발 사례와 일본의 쌀 식미연구 동향을 소개하였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개발되고 있는 쌀 가공 신제품의 특징과 발전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저자는 우리 고유의 음식을 산업화하려면 연구방법과 측정 장치까지도 제품의 특성에 맞게 고안해 내야하며 이러한 창의적인 연구를 통해서 새로운 형태의 쌀 가공식품들이 만들어져 밀가루 식품과 한판 전쟁을 벌여야 한다고 희망한다.

3. 식량안보와 쌀 이야기

 
저자 박평식
출판사 북셀프
출판일 2016.10.15.
우리나라는 IMF 사태와 식량위기 등 몇 차례 위기상황에서도 주곡인 쌀을 자급하고 있었기 때문에 위기를 모면해왔으며 소비자인 국민에게 그 이야기를 하고 싶었으며 생산자에게는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자 했습니다. 또한 우리의 주식인 쌀은 우리민족의 문화 이며 농업정책의 근간이 되어 왔다. 최근에는 여건변화에 대응해 새로운 활로를 찾기 위해 쌀 수출문제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쌀과 식량안보에 대한 관심은 물론, 우리나라와 세계 식량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4. 국제 농업의 경쟁력: 식량안보를 위한 정책 교훈
(Competitiveness of Global Agriculture: Policy Lessons for Food Security)

 
저자 Attila Jambor, Suresh Babu
출판사 Springer
출판일 2016.10.25.
이 책은 식량안보와 농업 경쟁력 문제를 함께 다루고 있다. 우선 두 개념에 대한 정의와 역사적 사실에 대해 다루며, 현재까지 겪어온 어려움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책은 국제 농산품 무역과 경쟁에 대해 다루며, 이를 국제 식량 안보 문제를 분석하는 기반으로 활용한다. 동시에 국가, 지역, 농산품 집단을 나누어 지속가능한 식량 안보 목표 달성 및 농업 경쟁력의 향상을 위한 정책 교훈 및 제언을 제시한다.

5. 농업인 연구 집단: 에티오피아의 참여적 농업 연구
(Farmer Research Groups: Institutionalizing Participatory Agricultural Research in Ethiopia)

 
저자 Dawit Alemu, Yoshiaki Nishikawa, Kiyoshi Shiratori, Taku Seo
출판사 Practical Action
출판일 2016.10.31.
농업연구 추진에 있어 농업인 참여의 필요성은 오랫동안 제기되어 왔다. 참여적 농업 연구 방법론은 이러한 점에서 고안되어 농부와 연구자가 특정 부문에 가장 적정한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 책은 에티오피아 농업지도사와 농업인들이 공동으로 조성한 농업인 연구 집단(Farmers’ Research Group: FRG)에 대해 설명하며 이들이 농민의 수요에 기반한 연구를 어떻게 수행했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접근방식을 에티오피아의 농업연구시스템(대학 포함)에 어떻게 적용했는지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다. 특히 이 책은 구체적인 연구 사례 제시를 통해 연구의 품질관리, 기술 전수, 효과성 및 효율성 관리가 이루어진 방식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으며, 이러한 접근방식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 얼마나 적용가능한지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맨위로이동